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5 No.1 pp.29-34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7.25.1.05

Flower Quality and Vase Life of Oriental Lily ‘Siberia’ Cultivated at Different Regions in Korea for Export
재배환경이 수출용 절화 백합의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

Ho Jin Lee1, Min Kyung Lim1, Wan Soon Kim1,2*
1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2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이 호진1, 임 민경1, 김 완순1,2*
1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2서울시립대 자연과학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 Wan Soon Kim, +82-2-6490-5613, wskim2@uos.ac.kr
March 29, 2017 March 29, 2017 March 30, 2017

Abstract

In this study, three greenhouse farms in Wonju (northern), Seosan (central), and Jeju (southern), which are main producing regions of lilies, were selected, and the impact of regional cultivation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quality of lilies were investigated with cut flowers of Oriental Lily ‘Siberia’. Greenhouse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integrated light have been analyzed since January 2016. The correlations between climate factors and cut flower qualities were determined. As a result, the vase life ha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w point (r = 0.73***). The temperatur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lower stalk length (r = -0.80***), whil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lower bud size (r = 0.67**). Effect of Integral light intensity on the cut quality and vase life was not much higher than temperature. These result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greenhouse environmental control to produce lily cut flowers qualified for export.


국내 백합 주산지 원주(북부), 서산(중부), 제주(남부)의 3 농가를 선정하여 수출용 오리엔탈 절화 백합 ‘Siberia’를 대상 으로 지역별 재배환경요인이 백합의 절화 품질 및 수명에 미 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설 내 휴대용 자동기록장치를 설 치하여 2016년 1월부터 온도, 습도, 일사량 등 기상환경을 분 석하고 절화품질요소와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절화 수명은 기상환경요인 중 이슬점 온도(r=0.73***)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온도는 절화장과 부의 상관(r=-0.80***) 을 보인 반면, 화뢰크기와는 오히려 정의 상관(r=0.67**)을 나 타냈다. 한편, 광량이 절화품질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재배환경 역시 수 출용 절화 백합의 수확 후 품질 및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초록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PET 314029-03

    서 언

    국내 화훼 생산규모는 전체 재배면적이 2000년 5,891 ha에 서 2005년 7,952 ha로 약 1.3배 증가하였으며 2015년 현재 2005년 대비 26.7% 감소한 5,831 ha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생산액 또한 2005년 1조105억 원으로 2000년 6,650억 원보다 약 2배 가까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2015년 현재 약 37.4% 감 소한 6,332억 원을 유지하고 있다(MIFAFF 2016). 절화류의 재 배면적은 2015년 현재 1459 ha, 생산액은 2,174억 원으로 전 체 화훼 재배면적과 생산액에 각각 25%와 34.3%를 차지하며 이 중 장미, 국화, 백합이 전체 절화류 재배면적과 생산액의 각각 59.8%, 62.8%를 차지하고 있다(MIFAFF 2016). 한편 백 합의 생산규모는 2015년 현재 재배면적 161 ha, 생산액이 171 억 원으로 전체 절화 생산액의 7.9%로 장미, 국화에 비하여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인 반면 그 수출액은 2015년 9,328천$로 전체 화훼류 수출액의 32.8%를 차지하며 절화 수출 품목 중 1위이다(MIFAFF 2016). 국내 생산 백합의 주 수출국은 일본 이다. 일본의 한국산 백합의 수입은 2000년 44.6%에서 2010 년 95.2%로 크게 확대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가 일본과 지리 적, 기후적 조건이 비슷하여 일본으로 백합을 수출하는데 유 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며, 주요 수출 품종은 오리엔 탈 계통의 시베리아, 카사블랑카 등이다(Hwang et al. 2007).

    최근 일본 경제 침체에 따른 엔화약세 및 소비위축 등의 악 조건으로 수출량이 감소하면서 한국산 절화 백합의 수출경쟁 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한국산 절화 백합 에 대한 일본 내 소비인식 하락의 원인은 소비자 단계에서의 낮은 절화 품질이다. 일본으로 수출되는 한국산 절화 백합의 품질 저하는 크게 생산단계와 유통단계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는데, 생산단계에서 광, 온도, 토양의 양수분 조절 등 재 배환경의 관리 부실을 원인으로 들 수 있으며 유통단계에서는 조기수확, 저장 및 수송 시 불량한 절화 취급 관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생산단계에서의 재배환경 관리 부실은 절화 수명 단축, 또는 미개화 등의 절화 품질 저하에 직접적인 원인이 되 고 있어 재배단계부터 절화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품질을 높이 기 위한 최적 재배환경 조건의 확립이 요구된다.

    절화의 품질 및 수명연장에 관한 연구는 1950년대 이후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다양한 연구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수 행되고 있다(Choi et al. 2014; Ichimura and Suto 1999; Lee et al. 1995). 한편 국내 농가들은 생산단계에서 그 규모나 재 배기술이 영세한 경우가 많아 절화 수출 시 상품성이 저하되 어 한국산 백합 절화가 품질이 낮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Choi et al. 2014). 한편 생산단계에서는 지역별로 상이한 환 경 특성을 고려하여 재배 작형이나 품종이 다르기 때문에 각 농가별 재배이력 정보와 재배환경을 요소별로 측정하여 상호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다(Yeon and Kim 2016).

    국산 절화 백합의 경우 농가의 재배기술 및 생산규모가 영 세하고 생산단계에서의 환경관리가 부실한 실정이어서 수출용 절화 백합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역별 재배작형 에 따른 재배환경 특성이 수출용 절화 백합의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 리나라 백합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백합 주산지역별로 재배환 경이 수출용 절화 백합의 품질과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고 각 요인간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재배단계에서 절화 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재배지역 및 절화 품질 기준

    국내 백합 주산지 원주, 서산 및 제주 3지역을 대상으로 각 지역별 1개소의 농가를 테스트베드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농 가에서 6월 수확작형으로 재배된 오리엔탈 백합 시베리아 품 종의 절화를 시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수확 시 품질 및 절화 수명을 조사하였다. 절화품질로는 절화장, 절화중, 경경, 엽수, 엽색, 화뢰크기 등이 조사되었고, 절화수명은 건식상태에서 수 송된 절화를 각각 75cm로 재절단한 다음 증류수가 들어 있는 병에 2개체씩 꽂아 조사하였다. 이 때 기부로부터 첫 번째 꽃 을 1번화로 정한 다음 1번화 아래 3장의 잎을 제외한 기부 쪽 잎들은 모두 제거하였다. 실험은 평균 온도 27.8 ± 1.3°C, 상 대습도 24.1 ± 0.2%, 조건의 일상환경에서 수행되었다. 절화 수명 조사는 2일 간격으로 실시하였고, 이 때 절화수명의 종 료시점은 절화의 전체 소화 중 2/3 이상 꽃잎이 시들거나 떨어 지고 갈변되는 등 관상적 가치를 상실한 시점으로 정하였다.

    재배온실환경 분석

    각 지역의 테스트베드 농가의 재배환경은 시설 내 휴대용 자 동기록장치(WatchDog Micro Stations, Spectrum Technologies Inc., USA)를 부착하여 2016년 1월부터 6월까지 1시간 간격으 로 일사량, 대기온도, 상대습도를 측정하였고, 이슬점 온도가 자동으로 계산되었다.

    통계처리

    통계분석용 프로그램인 SAS package(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4, SAS Institute Inc., USA)를 이용하여 ANOVA(Analysis of variance) 분석을 실시한 후 각 처리간의 유의성은 DMRT(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5% 수준 으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지역별 재배환경 특성

    2016년 1월부터 6월까지 지역별 재배환경의 월별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일사량의 경우 원주지역이 1월부터 4월까지 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이어 서산, 제주 순이었다. 한 편, 제주지역은 1월 누적광량이 다소 낮았으나 월별 변화의 폭이 타 지역에 비하여 크지 않았다(Fig. 1). 기온은 원주지역 의 경우 1월에 1.2°C까지 내려가면서 재배시설 내 난방을 실 시하지 않았고, 서산도 1월 평균온도가 3.9°C까지 나타났으나 제주지역은 11.5°C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 - 6월간 월별 평 균 기온이 11.5 - 23.1°C 분포를 보이며 온도변화의 편차가 테 스트베드 중 가장 적게 나타났다(Fig. 1). 이것은 제주지역에 서 겨울철 및 봄철 난방을 통하여 절화 백합을 생산하고 있었 던 근거로 판단되며, 수출증대 및 수요의 다양성 측면에서 겨 울철 온도관리에 유리한 제주도와 같은 남부지역의 백합 재배 지 확대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한편, 상대습도는 제주지역의 경우 6개월간 월평균 70.2 - 84.1%, 원주 및 서산지역에서는 48.4 - 77.3% 범위로 생육전 반에 크게 영향을 줄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았다(Fig. 2). 상대 습도와 기온간의 상관관계를 갖는 이슬점 온도는 겨울철 난방 을 하지 않은 강원 및 서산지역의 두 농가 모두 약 -5°C까지 떨어지는 등 매우 낮아졌으나, 계절의 변화와 함께 다시 급격 히 상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배과정 중 높은 상 대습도 환경에서 큰 폭의 온도 격차는 시설 내 식물체의 잎 표면에 결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면 과습 및 곰 팡이 포자의 발아 등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유발하여 잠재 적인 발병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재배기간 중 일정한 온도의 유지가 중요하다.

    지역별 백합 품질 특성

    6월에 실시한 절화의 품질 및 수명조사에서 제주지역 생산 절화가 절화장, 절화중, 경경, 엽색 및 화뢰 크기 등 주요 절화 품질요소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Table 1). 절화수명 역 시 제주지역에서 재배된 절화가 13일로 원주지역보다 4일이 나 높게 나타났고, 서산의 절화와 비교하여도 3일이 길었다. 이것은 백합 재배기간 중 다른 지역보다 제주지역의 온화한 기상 환경조건과 월별 편차가 적은 환경에 따른 것으로 생각되 며 동일한 재배작형으로 비슷한 시기에 재배한 절화임에도 불 구하고 지역에 따른 품질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었다(Fig. 3).

    재배환경과 절화품질 상관성

    기상환경요인 및 절화품질요소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Table 2). 그 결과, 절화수명에 대해서는 기상환경요인 중 이 슬점 온도(r=0.73***)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재배과정 중 이슬점 온도가 높을수록 겨울철 시설 내 결로 발생에 의한 과습 및 곰팡이 등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감소시키는 데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재배 기간 중 기 상환경요인은 절화수명 외에도 다양한 절화품질요소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절화장은 기온(r=-0.80***)과 고도의 음의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백합의 경우 생육적온은 약 20 - 23°C 내외로 30°C 이상의 여름철 고온기 재배 시 초장이 매우 짧아 지기 때문에 수출에 적합한 규격의 절화생산을 위하여 차광 재배 등 기온조절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and Cho 1997).

    절화품질요소 중 화뢰의 크기가 절화수명과 정의 상관관계 (r=0.67**)를 나타냈다. 백합은 화경에 비하여 화뢰가 매우 크 기 때문에 개화과정에서 많은 양의 수분과 신진대사물질이 필 요하다. 따라서 수출 시 백합 절화의 조기수확으로 인한 미개 화 등 품질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뢰가 완전히 성숙하여 개화 시 필요로 하는 양분을 충분히 축적할 수 있도록 조치하 는 것이 절화수명을 연장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2).

    이상에서 지역별로 고유의 환경적인 특성이 동일한 품종 및 재배작형 내에서도 절화의 품질을 결정하고 있었다. 수출증대 및 수요의 다양성측면에서 겨울철 온도관리가 유리한 남부지 역의 백합 재배지 확대의 검토가 필요하며, 수출 후 절화품질 유지를 위하여 화뢰가 충분히 성숙할 수 있도록 수확시기를 조절하는 등 농가수준의 조치가 요구된다.

    한편 본 실험에서 재배환경요소 중 광과 같은 중요한 요인 과 절화수명이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백합이 구근식물임을 고려할 때 절화품질이 모주의 구근요소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환경요소의 영향력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재배토양 선정 및 절화 백합의 식재 구근의 크기, 무게, 인편수 등 구근 품질요소와 절화 품질요소 간 상관성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 다.

    사 사

    본 논문은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수출전략기술개발사 업 “수출 절화용 화훼류(장미, 국화, 백합)의 신선도 유지기술 및 현장 적용 모델 개발”시험과제(과제번호: IPET 314029-03) 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FRJ-25-1-29_F1.gif

    Monthly average integrated light intensity (A) and air temperature (B) observed from cut lily test beds by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Wonju (northern), Seosan (central), and Jeju (southern).

    FRJ-25-1-29_F2.gif

    Monthly average relative humidity (A) and dew point temperature (B) observed from cut lily test beds by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Wonju (northern), Seosan (central), and Jeju (southern).

    FRJ-25-1-29_F3.gif

    View of vase life experiment of oriental lily ‘Siberia’ grown at different regions (A, B: Wonju, C, D: Seosan, and E, F: Jeju). A, C and E: 1st day of vase life test; B, D and F: 8th day.

    Table

    Comparison of cut flower quality and vase life of oriental lily ‘Siberia’ cultivated at test beds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in Korea.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P = 0.05 (n = 1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cut flower quality in oriental lily ‘Siberia’ cultivated at different regions.

    zAT: air temperature on average per a day (°C), RH: relative humidity a verage per a day (%), DPT: dew point temperature on a verage per a day (°C), CFL: cut flower length (cm), SD: stem diameter (cm), CFW: cut flower fresh weight (g), NO. L: number of leaf (No.), FL: 1st floret length (cm), FD: 1st floret diameter (cm), VL: vase life (Days), CLI: cumulative light intensity per a day (W•m-2).
    NS, *, **, ***means no significant at P = 0.05, 0.01 or 0.001, respectively.

    Reference

    1. Choi MP , Joung HY , Kang YI , Ko JY (2014) Effects of pretreatments and shipping temperature on leaf chlorosis of cut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flower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32 ; pp.827-833
    2. Hwang SA , Lee JS , Lee PO , Kim YA , Suh JK (2007) Effect of p retr eatments o n vase l ife and flower quality o f cut Lilium O r eintal h ybrid 'Casa Blanca' , Flower R es J, Vol.15 ; pp.245-249
    3. Ichimura K , Suto K (1999) Effects of the time of sucrose treatment on vase life, soluble carbohydrate concentrations and ethylene production in cut sweet pea flowers , Plant Growth Reg, Vol.28 ; pp.117-122
    4. Lee JI , Cho MS (1997) Effect of mulching and GA3 treatment in shade culture on the growth of Lilium spp in high temperature season , J Korean Soc Hort Sci, Vol.38 ; pp.288-291
    5. Lee JS , Kim YA , Shin YM (1995) Effects of harvesting stage, preservative, and storage method on vase life and flower quality of cut snapdragon , J Korean Soc Hort Sci, Vol.36 ; pp.926-942
    6.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6) Statistics for floricultural industry in 2015 , Sejong Korea, ; pp.346-347
    7. Yeon YJ , Kim WS (2016) Correlation between vase life of cut roses for export and cultivation environments in summer , Flower Res J, Vol.24 ; pp.312-318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