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7 No.3 pp.186-194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9.27.3.03

A Survey of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Gardening in Korea
국내 가드닝 관련 교육프로그램 현황 분석

Do Lee Yun, Mi Jeong Yoon*
Gardens and Education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186, Korea

윤 도이, 윤 미정*
국립수목원 수목원과
Corresponding author: Yoon Mi Jeong Tel: +82-31-540-1034 E-mail: mjyoon75@korea.kr
07/06/2019 16/09/2019 23/09/2019

Abstract


The study investigated two types of programs for analyzing the status of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garden-related in Korea: (1) all programs that use gardenrelated keywords in the program name, activities, handouts, etc. such as garden, gardening, gardener and (2) program to train experts in arboreta·botanical gardens. These programs were in operation from 2017 to 2018 in Korea. Based on this survey, it was found that 83 garden-related programs were organized by 54 host institutions. In host institutions, local government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39 institutions, 72.2%), followed by private arboretum·botanic garden (6 institutions, 11.1%), public arboretum·botanic garden (5 institutions, 9.3%), national arboretum·botanic garden (2 institutions, 3.7%), private enterprise (1 institution, 1.9%), and university (1 institution, 1.9%). 83 garden-related programs were executed by 63 executing institutions. 12 of the executing institutions were universities, indicating that universities commissioned programs from local governments. Garden-related programs were the most distributed in Gyeonggi-do (50 programs, 61.4%) among regional distribution. Among the garden-related programs, there were the most programs for adults (64 programs, 63.4%). 78.3% (65 programs) of garden-related programs were available to professionals education. As people are expected to increase their interest in nature, forest, garden and continue to expand the garden sector n ationally, various e xperiences s hould be p rovide through the provision of more garden-related programs.




초록


    서 언

    ‘garden’은 헤브라이어 ‘gan: 울타리, 둘러싸는 공간’과 ‘oden: 즐거움, 기쁨’의 합성어다(Doopedia 2015). ‘garden’은 한국어 로 ‘정원’이며 국어사전에서 ‘집안에 있는 뜰이나 꽃밭’으로 정 의된다(National Institute of Korea Language 2019). 최초의 정원은 원시시대 ‘위요 공간’으로 거주공간의 내·외부를 구분 하는 실용 위주로 활용되었으나(Yoon 2000), 18세기 유럽에 서는 특권층을 위한 고급예술 공간으로 사용되었다(Doopedia 2015). 현대사회에는 사회구조의 발달로 ‘열락 정원’의 개념으 로 활용되며, 자연과 인공이 함께 결합되어 있는 일종의 예술 로 볼 수 있다(Doopedia 2015). Korea Forest Service(2019) 에 따르면 정원은 ‘식물을 중심으로 자연물과 인공물을 배치, 전시, 재배, 가꾸기 등이 이루지는 공간’의 개념으로 ‘재배, 가 꾸기 등 가드닝’, ‘조형미, 예술적 및 참여적’, ‘식물학적, 공원 적’의 기능으로 활용된다. 국내에서 ‘garden’과 ‘정원’은 의미 차이 없이 혼용하여 사용되며 실내·외의 의미를 모두 포함한 다. ‘garden’, ‘gardening’, ‘gardener’의 단어를 영문 그대로 사 용하거나 한국어로 ‘가든’, ‘가드닝’, ‘가드너’로 변형하여 편리 하게 활용하기도 하며 의미는 그대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국민의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자연에 대한 관심과 웰빙문화의 확산에 따라 국민의 자발적인 녹화활동 유도와 동시 에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Son and Kim 2015). 2015년에는 산림청에서도 정원에 대한 지원을 위해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을 개 정하여 시행하였다(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5). 이 와 연계하여 최근 국내에 수목원·식물원 및 정원의 조성이 증 가하고 있다. 현재 국가정원은 2015년도에 지정된 ‘순천만국가 정원’과 2019년도에 지정된 ‘태화강국가정원’으로 2개소이며, 지 방정원의 경우 2019년에 등록된 ‘세미원’ 외에 16개의 정원이 설계·조성 중이고 민간정원은 2015년과 2019년 사이에 25개소 가 등록되었다(Korea Forest Service 2019a). 뿐만 아니라 2010 년에 시작된 ‘경기정원문화박람회(Gyeonggi agroFood Institute 2012)’, 2015년에 시작된 ‘서울정원박람회(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와 2016년에 ‘정원’이라는 키워드가 포함된 ‘대한민국 조경·정원 박람회(Korea Landscape&Garden Expo 2016)’ 등 다양한 정원 관련 행사가 운영되고 있다. 지방자치단 체에서는 시민의 가드닝 지식 향상과 생활속 정원문화 확산을 위해 가드닝 전문가 양성교육 및 인증제를 실시하고 있으며(Son and Kim 2015), 국립수목원에서 운영하는 ‘식물교실 - 실내가드 닝(Korea forest service 2019b)’, ‘1일 가드너 되어보기(Korea forest service 2019c)’, ‘실무전문가 연수과정(Korea forest service 2019d)’ 등의 프로그램 이외에도 다양한 국내 수목원· 식물원에서 취미 교육부터 전문가 교육까지 폭넓은 가드닝 교육 을 운영하는 추세이다(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7).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공원녹지분야의 관리 를 위해 자원봉사활동의 가치와 중요도가 높아졌으며, 이를 위해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원 교육 프로그램이 2007년에 경기농림 진흥재단의 조경가든대학을 시초로 많은 지자체에서 운영되고 있다(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7).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 램의 경우 1978년 천리포수목원(Chollipo arboretum 2018)에서 최초로 시행되었으며, 이외에 한택식물원(Hantaek botanical garden 2019), 기청산식물원(Key-chungsan botanical garden 2019), 국립수목원(Korea forest service 2019d) 등에서 시행되고 있으나(Lim 2014) 대부분 1년 미만의 현장 위주 실습으로 구성되 어 있고, 정해진 교재나 강사 없이 자체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Korea forest service 2005). 수목원 및 정원과 관련된 분야의 전문가 및 봉사자의 수요가 증가되고 연계하여 분야 교육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국내에서는 취미 교육부터 전문가 교육까 지 다양한 가드닝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실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7). 본 연구는 국내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실태조사 로 최근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국민 수요에 맞는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토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

    국립수목원에서 가드너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 조사 단계로 국내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파악 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알기 위해 해당 조사를 실시 하였다. 프로그램 조사의 범위는 1) 프로그램 제목, 내용, 활동 자료 등에 ‘가든’, ‘가드너’, ‘가드닝’, ‘정원’, ‘정원사’ 등의 관련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 2) 수목원·식물원 전문 인력 을 양성하는 프로그램으로 2017년부터 2018년의 기간을 지정하 였다. 이후 본문에서 두 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가드 닝 관련 프로그램’으로 총칭한다.

    연구방법

    국내에서 2017년도와 2018년도에 운영된 가드너 관련 프로 그램을 조사하기 위해 학술 자료 및 인터넷 검색을 실시하였 다. 국내 수목원·식물원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Kim et al.(2011)의 논문을 토대로 최근 현황을 업데이트하여 조사하 였다. ‘가든’, ‘가드너’, ‘가드닝’, ‘정원’, ‘정원사’ 및 이와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된 프로그램을 인터넷으로 조사하였고, 지역별 프로그램 조사를 통해 국내 지역명과 키워드를 조합하여 2017 년과 2018년도의 프로그램 현황을 모두 조사하였다.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프로그램 운영기관과 지역 구분을 위한 기준 설립

    국내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운영방법을 조사하였을 때 1) 주 최기관에서 직접 운영하는 방법 2) 주최기관에서 타 기관에 위탁 한 뒤 위탁 받은 기관에서 운영하는 방법의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 운영기관이란 주최 혹은 위탁에 상관없이 실제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Table 1에는 국내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의 주관기관 구분, 운영기관 명, 프로그램 명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주관기관과 위탁기관 은 총 6개(국립 수목원·식물원, 공립 수목원·식물원, 사립 수 목원·식물원, 대학교, 지자체, 사기업)로 구분하였다. 이 때 대 학교에는 대학교수목원·식물원을 포함시켰으며 지자체에는 공원녹지사업소, 시청, 농업기술센터, 주민센터, 국·공립 관련 센터 등을 포함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운영기관의 구분은 주 관기관과 위탁기관을 모두 구분하여 제시하였다(Fig. 1, 2).

    프로그램 운영기관의 지역별 구분은 실제 프로그램이 운영 된 지역을 조사하여 Fig. 3에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사례 중 동일 주관기관에서 같은 프로그램 명으로 여러 기관에 위 탁한 경우 운영기관 당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계산하였다. 또 한, 하나의 기관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각각의 프로그램으로 인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대상 구분을 위한 기준 설립

    프로그램 대상 연령을 구분하여 Fig. 4에 제시하였다. 연령 에 따른 구분은 미취학 아동,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성 인으로 총 5개의 연령층이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 수를 계산하 였다. 전연령이 참가 가능한 프로그램의 경우 전체 연령층이 참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프로그램 교육 수준 구분을 위한 기준 설립

    교육 내용에 따라 일반교육과 전문교육으로 나누어 구분하 였는데(Fig. 5), 일반교육은 취미 교육 및 어린이 교육 등 단기 성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고 전문교육은 전문가 양성, 직업 교육, 지역사회봉사자 양성 등 다회성 및 심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횟수는 프로그램 운영 시간에 상관없이 몇 회가 진행되는지를 기준으로 책정하였다(Fig. 6).

    결과 및 고찰

    국내에서 2017년도와 2018년도에 운영된 가드닝 관련 프로 그램을 조사한 결과 총 54개소의 주관기관에서 83개의 프로그 램이 운영된 것으로 조사하였다(Table 1, Fig. 1).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은 대체적으로 주관기관에서 직접 프로그램을 운영 하였으나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의 경우 ‘조경가든대학’과 ‘경 기도 시민정원사’ 2개의 프로그램을 주관하고 실제 운영은 각 각 8개와 7개의 위탁 기관에서 진행하였다(Table 1). 실제 프 로그램이 운영된 기관은 총 65개(중복 기관 제외)로 조사되었 다(Fig. 2). 프로그램 주관기관의 종류를 구분하였을 때 지자 체가 39개소(72.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공립수목원·식물 원이 6개소(11.1%), 사립수목원·식물원이 5개소(9.3%)로 나 타났다(Fig. 1). 운영 기관의 경우 지자체, 대학교, 사립수목 원·식물원 순으로 각각 37개소(56.9%), 12개소(18.5%), 7개 소(10.8%)로 조사되었다(Fig. 2). 주관기관과 운영기관 모두 지자체에서 가장 개소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교의 경우 주관기관은 1개소(1.9%)인 반면 운영기관은 12개소로 나 타났다(Fig. 1, 2). 이는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의 ‘조경가든대 학’과 ‘경기도 시민정원사’ 프로그램에서 주로 대학교를 위탁 기관으로 선정하여 운영하였기 때문이다(Table 1). 위탁기관 은 주관기관이 프로그램의 주제를 정한 뒤 공고를 통해 모집 하는데, 이 때 전문교육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교육 장소로 의 편리성이 높은 대학교에서 위탁 기관 지원 및 선정이 활발 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총 83개의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운영기관의 지역별 분포 도는 경기도가 50개소(6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 특별시 11개소(12.0%), 경상도와 전라도 6개소(7.2%), 충청도 4개소(4.8%)이고 강원도, 광주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 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가 각 1개소(각 1.2%)로 조사되었 다(Fig. 3).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의 지역 분포를 살펴보면 전 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었으나, 전체 프로그램의 과반수 이상이 경기도에서 운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Fig. 3).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 중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대부분 지역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스터가드너’ 및 ‘시민정원사’ 양성 프로그램으로 해당 지역의 사회봉사자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인데, 경기도의 경우 전체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50개소 기관 중 37개소에서 지역 사회봉사자 양성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Data not shown). 이러한 결과를 통 해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의 경우 운영기관이 수도권에 몰려 있 는 지역 편중 현상이 있다고 판단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지 역별로 균형 있는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총 83개의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 령별로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 수를 책정한 결과 성인 64개 (63.4%), 초등학생 13개(12.9%), 중학생 10개(9.9%), 미취학 아동 8개(7.9%), 고등학생 6개(5.9%)로 나타났다(Fig. 4). 프 로그램 대상 연령을 조사하였을 때 연령에 대한 제한 없이 일 반인 대상으로 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많았으나 프로그램 취지, 운영 내용, 운영 시간 등을 참고하였을 때 성인이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다. 성인의 경우 ‘마스터가드 너’ 및 ‘시민정원사’ 등 지역사회와 관련된 프로그램뿐만 아니 라 교양 프로그램으로 ‘실내 가드닝’, 전문가 양성 과정으로 ‘수목원·식물원 전문가’ 혹은 ‘놀이 정원사’ 등의 다양한 프로 그램에 참여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초등학생과 미취학아동의 경우 부모님을 동반이 필수적인 프로그램이 있 었으며, 중학생의 경우 자유학년제의 영향으로 직업체험 프로 그램도 포함되어 있어 고등학생보다 많은 수의 프로그램이 참 여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Fig. 4). 국내 수목원의 연령별 프로그램의 불균형은 Yoon et al.(2013)에서도 발표된 바 있 다. 환경부(Ministiry of Environment 2002)에 따르면 13세에 서 17세 정도의 연령층은 자연에서 일어나는 긍정적 혹은 부 정적 변화와 영향이 자신과 어떠한 관계인지에 대한 관심을 가진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다양한 경험을 학습하고 자연의식 을 고취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수 및 스펙트럼의 다 양화가 필요하다(Yoon et al. 2013).

    교육 내용에 따라 전문교육과 일반교육으로 나누어 구분한 결과, 전문교육 65개(78.3%), 일반교육 18개(23.2%)로 나타났 다(Fig. 5). 전문가 양성, 직업 교육, 지역사회봉사자 양성 등이 포함되어 있는 전문교육은 다회성 및 심화 프로그램이 대부분이 었으며, 프로그램 이수 이후 활동 및 커뮤니티 모임이 지속적으 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전문교육의 경우 학과 재학 및 졸업 자, 관련 분야 자격증 소지자, 관련 타 교육프로그램 이수자 등의 전공자를 대상으로 참가자를 모집하였으며, 수목원·식물원 전 문가 양성, 심화반, 봉사활동 특화반 같은 경우 전공분야 경력, 자격증 또는 기본 프로그램의 수료증을 요구하는 등 전문지식을 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공자를 대상으로 운영되는 프로그 램의 경우 심화 교육을 통해 참가자에게 전문적인 교육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문가를 배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유추 가능하다. 지역에 따라서는 일반교육과 전문교육을 함께 운영하는 경우도 조사되었는데, 경기농식품유통진흥원 은 ‘조경가든대학(Gyeonggi agroFood Institute 2018a)’과 ‘시민 정원사(Gyeonggi agroFood Institute 2018b)’를 운영하며 ‘시민 정원사’ 모집 시에는 ‘조경가든대학’ 수료를 신청 자격으로 제시 하였다. 서울특별시의 경우 시민정원사 과정이 ‘이론실습과정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b)’과 ‘봉사실습과정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c)’으로 나누어져 있어 지 속적인 교육과 인적자원의 관리가 함께 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Kim(2011)의 연구에서 가드닝 교육에 참가한 전문가 집단의 설문조사 결과, ‘가드닝의 생산적인 노력에 대해 사회적 보상을 제공받는다’와 ‘가드너가 된 것으로 인한 찬사와 인정을 받을 수 있다’의 설문 항목에서 긍정적 응답이 50% 이하 로 나타난 바가 있다. 지속적으로 지역 봉사활동을 수행하며 가드닝 관련 전문 활동을 하는 봉사자들에게 지역 차원의 적절 한 대우와 보상을 통한 전문 봉사활동의 긍정적 인식 증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교육의 경우 취미, 교양 교육 및 어린이 교육 등 단기성 프로그램으로 성인의 경우 일회성 실내 가드닝 등의 프로그램이 조사되었고, 미취학 아동의 경우 ‘가든’ 과 향수, 목공, 독서 등 다양한 주제가 함께 구성된 프로그램도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알기 위해 2017년과 2018년에 운영된 ‘가든’, ‘가드너’, ‘가드 닝’, ‘정원’, ‘정원사’ 및 이와 관련된 키워드가 포함된 프로그램 과 수목원·식물원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를 바 탕으로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국내에서 2017년과 2018년에 운영된 가드닝 관련 교 육프로그램에는 ‘마스터가드너’, ‘시민정원사’, ‘마을 정원사’, ‘도시 정원사’ 등의 명칭을 사용하는 지역 자원봉사자 양성 교 육프로그램, 수목원·식물원 예비 전문가를 교육하는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 가드너 부분 관련 직업의 교육을 위한 직 업 교육프로그램, 미취학아동부터 초등학생까지 관련 분야 체 험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중고등학생의 가드너 관련 직업 체 험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실내·외 가드닝과 관련된 취미 위 주 교양 프로그램 등이 전국에 걸쳐 총 83개가 운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프로그램 운영기관은 지자체에서 72.2%의 점유 율을 나타냈으며, 프로그램 운영지역은 경기도에서 61.4%로 과반수 이상의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둘째, 가드닝 관련 교육프로그램 중 70% 이상이 자원봉사 자 양성 교육프로그램이며 지역별 정원 운영이 활성화됨에 따 른 자원봉사자 수요가 증가한 결과로 추측된다. 특히 경기도 에서는 37개소에서 지역 사회봉사자 양성 프로그램이 운영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운영 내용 및 시간을 조사하였을 때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기간동안 매주 평일에 교 육 참여가 가능해야 함으로 참가 가능한 자원봉사자의 범위가 좁은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지속적으로 지역 봉사활동을 수 행하며 가드닝 관련 전문 활동을 하는 봉사자들에게 지역 차 원의 적절한 대우와 보상을 통한 전문 봉사활동의 긍정적 인 식 증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프로그램 대상 연령을 조사하였을 때 초등학생 13개 (12.9%), 중학생 10개(9.9%), 고등학생 6개(5.9%)로 학생이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이 비교적 적고, 해당 프로그램이 대부 분 일회성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가드닝 관련된 정보 를 얻거나 관심을 가질 기회가 적은 것으로 보여진다. 국민들 의 자연에 대한 관심 증대와 지속적인 정원 분야의 확대가 예 상됨에 따라 학생들에게도 다양한 가드닝 관련 프로그램의 제 공을 통해 다양한 경험의 학습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 로 보인다.

    넷째, 가드닝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은 국민의 수요에 대응 하여 앞으로도 다양하게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정원 분야 활성화에 따라 국민 여가 생활과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 므로 수목원·식물원의 적극적인 중·고등학생의 체험 교육 확대, 지역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 주말 운영, 수도권 이외 지역의 가드닝 관련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원 등 가드닝 분야 의 다양성을 넓힐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운영이 필요한 것 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FRJ-27-3-186_F1.gif

    Distribution of gardening-related programs by host institution in Korea, 2017-2018.

    FRJ-27-3-186_F2.gif

    Distribution of gardening-related programs by executing institution in Korea, 2017-2018.

    FRJ-27-3-186_F3.gif

    Regional distribution of gardening-related programs in Korea, 2017-2018.

    FRJ-27-3-186_F4.gif

    Distribution of gardening-related programs by educational target by age in Korea, 2017-2018.

    FRJ-27-3-186_F5.gif

    Distribution of gardening-related programs educational contents by difficulty in Korea, 2017-2018.

    FRJ-27-3-186_F6.gif

    Distribution of gardening-related programs by number of operation in Korea, 2017-2018.

    Table

    Lists of the gardening-related programs in Korea, 2017-2018.

    Reference

    1. Anseong-si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2018) Mast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s://www.anseong.go.kr/farm/bbs/view.do?mId=0501010000&bIdx=120986&ptIdx=16
    2. Bucheon mureungdo arboretum (2019) Dreaming little gardener program. Accessed Apr. 2019, https://ecopark.bucheon.go.kr/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149004001009
    3.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2018) Mast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www.busan.go.kr/nhot/1307771
    4.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2018) Citizen garden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s://www.cheongju.go.kr/www/selectBbsNttView.do?key=279&bbsNo=40&nttNo=113636
    5. Chollipo arboretum (2018) Arboretum master training education. Accessed Apr. 2019, coursehttp://www.chollipo.org/board/bbs/board.php?bo_table=clp_news&wr_id=1490&menuKey=68&sfl=wr_subject&stx=%EC%88%98%EB%AA%A9%EC%9B%90%EC%A0%84%EB%AC%B8%EA%B0%80&sop=and
    6. Daegu arboretum (2017) Landscape tre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Accessed Apr. 2019, http://www.daegu.go.kr/cts/index.do?menu_id=00933490
    7. Dangjin-gun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2018) Master gardener and urban agricultural manager. Accessed Apr.2019, http://www.dangjin.go.kr/cop/bbs/BBSMSTR_000000000066/passwdForm.do?bbsId=BBSMSTR_000000000066&nttId=0&returnUrl=%2Fcop%2Fbbs%2FBBSMSTR_000000000066%2FselectBoardList.do
    8. Doopedia (2015) Concept of garden. Accessed Apr. 201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88502&cid=40942&categoryId=33076
    9. First garden (2018) Little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www.firstgarden.co.kr/?m=bbs&bid=event&p=2&uid=22
    10. Gangdong-gu office (2019) Indoor and outdoor vegetable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s://www.gangdong.go.kr/cityfarm/web/module/8311/index.do#none
    11. Gwangju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2018) Mast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www2018.gwangju.go.kr/agri/boardView.do?pageId=agri76&boardId=BD_000000241&seq=277990&movePage=6&searchTp=TM
    12. Gyeonggi agroFood Institute (2012) Dream of a city, a garden - history book of Gyeonggi-do garden culture fair. Accessed Sep. 2019,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893478
    13. Gyeonggi agroFood Institute (2018a) Landscape garden college. Accessed Apr. 2019, https://www.gg.go.kr/archives/3958794
    14. Gyeonggi agroFood Institute (2018b) Gyeonggi-do citizen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s://farm.gg.go.kr/rhome/4563
    15.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7) Study on upgrading the certification and activities of Gyeonggi civic gardeners.
    16. Hantaek botanical garden (2019) Horticulture and landscape school: intensive course. Accessed Apr. 2019, http://www.hantaek.co.kr/fes_edu_2/edugarden_2/
    17. Iksan-si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2017) Mast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www.iksan.go.kr/farm/board/view.iksan?boardId=BBS_0000031&menuCd=DOM_000000705002000000&startPage=1&dataSid=371400
    18. Incheon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2017) Mast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agro.incheon.go.kr/board/2510/1957491?category
    19. Jade garden (2018) Gardening it yourself. Accessed Apr. 2019, https://www.hanwharesort.co.kr/irsweb/resort3/tpark/jdgd/tp_exper_view.do?jep_seq=88&schTp=ARAAAA
    20. Key-chungsan botanical garden (2019) Gardener training education program. Accessed Apr. 2019, http://www.key-chungsan.co.kr/sub/3050.php
    21. Kim OK (2011) A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gardener. Master- thesi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22. Korea forest service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for the specialized arboretum (Year 2).
    23. Korea forest service (2019a) Present condition of gardens. Accessed Sep. 2019, http://www.forest.go.kr/newkfsweb/html/HtmlPage.do?pg=/foreston/fon_arboretum/foreston_0501.html&orgId=fon&mn=KFS_01_03_07
    24. Korea forest service (2019b) Indoor gardening program of Korea national arboretum. Accessed Apr. 2019, http://www.forest.go.kr/newkfsweb/html/HtmlPage.do?pg=/study/study_01020205_01.html&mn=KFS_15_03_02_03&orgId=kna&mn=KFS_15_03_02_02&orgId=kna
    25. Korea forest service (2019c) One day gardener program of Korea national arboretum. Accessed Apr. 2019, http://www.kna.go.kr/knaf/user/progrm/selectProgrm.do?upperMenuNo=002&menuNo=0231
    26. Korea forest service (2019d) Practical expert training course of Korea national arboretum. Accessed Apr. 2019, http://www.kna.go.kr/knaf/user/progrm/selectProgrm.do?upperMenuNo=005&menuNo=0502
    27. Korea Landscape&Garden Expo (2016) Results report of Korea landscape&garden expo. Accessed Sep. 2019, http://www.jokyongexpo.co.kr/
    28. Lim HO (2014) A study on analysis utilization of gardener training program in Korea. Master- thesis, Dankook National University, Korea.
    29. Ministiry of Environment (2002) Theory and actuality of experience environment education - the manual of experience environment education. Accessed Jan. 2002, http://webbook.me.go.kr/DLi-File/F000/080/8106_43012.pdf
    30. Namyangu-si agricultural technology service center (2018) Mast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s://dasanedu.nyj.go.kr/dasanedu/board/board_view.do?pageIndex=1&seq=2809&board_seq=1&searchCnd=title&searchWrd=%EA%B0%80%EB%93%9C%EB%84%88
    31. National baekdudaegan arboretum (2019) Arboretum and career: gardener. Accessed Apr. 2019, https://www.bdna.or.kr/contents.do?idx=321
    32.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9) Standard korean dictionary of dictionary - garden. Accessed Sep. 2019,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3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2015) Law on the forma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 and garden. Accessed Mar. 2019, http://www.law.go.kr/
    34. Pureun arboretum (2017) Indoor gardening. Accessed Apr. 2019, http://parks.seoul.go.kr/story/news/detailView.do?bIdx=863
    35. Seongnam municiple botanical (2017) Exciting gardener with mom and kid. Accessed Apr. 2019, http://epark.seongnam.go.kr/community/sub01.asp?fboard=board_comm1&num=152&actionMode=view
    36. Seoul forest (2017) Seoul forest urban gardener practice school. Accessed Apr. 2019, http://parks.seoul.go.kr/story/news/detailView.do?bIdx=623
    3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5) Seoul garden show. Accessed Sep. 2019, http://fhttp://festival.seoul.go.kr/files/2016/05/573e8e607ce007.05001226.pdf
    38.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a) Urban gardener program of Pureun arboretum. Accessed Apr. 2019, https://yeyak.seoul.go.kr/reservation/view.web?rsvsvcid=S190122105615216378
    3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b) Citizen gardener theoretical practical course. Accessed Apr. 2019, http://news.seoul.go.kr/env/archives/78051
    40.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9c) Citizen gardener volunteer practical course. Accessed Apr. 2019, http://news.seoul.go.kr/env/archives/78031
    41. Shingu Botanic garden (2019) Arboretum master training education course. Accessed Apr. 2019, https://www.sbg.or.kr/edu/edu.html
    42. Son JW , Kim YH (2015) An analysi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f gardening education: Focused on Gyeonggi-do citizen gardener program. J Agri Life Sci 4:41-49
    43. The Garden of Morning Calm (2019) Gardening class ‘jungle mossball’. Accessed Apr. 2019, http://www.morningcalm.co.kr/html/exp3.php
    44. Ulsan metropolitan city office (2018) Amusement gardener instructor training course. Accessed Apr. 2019, https://www.ulsan.go.kr/atc/education/197
    45. Western park green business place (2018) Teenager gardening. Accessed Apr. 2019, http://parks.seoul.go.kr/story/news/detailView.do?bIdx=95
    46. Yoon CS (2000) Architecture of Japan: gardens. Accessed Apr. 2019,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73233&cid=51215&categoryId=51215
    47. Yoon JW , Kang SK , Hyun JO , Kim YS , Song US , Lim YJ , Shin HT , Kim GS , Sung JW , Park KH , Lee CH , Yi MH (2013) The status of arboretas education programs focused on plant diversity conservation in Korea and foreign nations. J Korean Inst For Recreat 17:49-54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