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0 No.4 pp.244-249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2.20.4.244

Cultivar Evaluation of Narcissus spp. Treated with Mulching for Bedding Plant in Central Area of Korea
중부지방 화단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도입 수선품종의 피복유무에 따른 특성평가

Youn Jung Choi2*, Su Min Shin1,2, Ju Hee Rhee3, Yun Im Kang2, Dae Hae Goo2, Hyang Young Joung2, Ki-Byung Lim1
2Floricultur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1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신수민1,2, 최윤정2*, 이주희3, 강윤임2, 구대회2, 정향영2, 임기병1
1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2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3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Received 31 October 2012; Revised 28 November 2012; Accepted 21 December 2012.)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growth of Narcissus during the winterwith and without the presence of straw mulching. On top of flavoured or yellow Narcissus, many different colors,including white and orange, were found from introduced varieties. The growth difference in flowering timeunder straw mulching and non-mulching conditions was not found. However, survival rate varied among cultivars.Under both conditions, from Hardy I group, ‘Cum Laude’ and ‘Texas’ showed the survival rate of 100%,‘Baby Moon’ survived 70%, and ‘Sir Winston Churchill’ did 50%. In Hardy II group, fourteen (14) cultivarsincluding ‘Apothease’ showed the survival rate of 90 to 100% under non-mulching condition, and seven (7)cultivars including ‘Acropolis’ survived between 50 to 70%. ‘tazetta. Shiro Busa’, which belongs to Tender IIIgroup, survived over 90% under straw mulching condition, but it could not survive under non-mulching condition.However, survival rate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mulching processing depending on thegrowth difference is negligib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ower color, corona color and fragrance.‘Cum Laude’, which belongs to Hardy I group and ‘Apothease’, ‘Ice Follies’, ‘Orange Ice Follies’,‘Replete’, ‘White Lion’ which belongs to Hardy II group, plant height, diameter of corona and flower etc., theaverage inter showed significance. Show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ivars, the annual number of bulbletswas increased by 0-2. In addition to introduced cultivars of flower color generally used to be yellow, white,orange, etc. and strong fragrance. Thus, among 26 introduced cultivars of Narcissus, those can be used forflowerbeds in the central region surrounding Suwon were ‘Cum Laude’ and ‘Texas’, which belong to Hardy I,and ‘Apothease’, ‘Barrett Browning’, ‘Changing Colors’, ‘Dutch Master’, ‘Eastern Dawn’, ‘Garden Giant’,‘Ice Follies’, ‘Obdam’, ‘Standard Value’, which belong to Hardy II, as a total of eleven (11) cultivars.

본 연구는 Amaryllidoideae속 수선과에 속하는 수선품종 중 우리나라에서 중부지역의 화단용으로 지속적인이용이 가능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복의 유무에 따라 생육상태나 자구의 형성이 받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원소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노지 포장에 2010년 10월과 2011년 11월, 짚피복처리구에는 생짚을 20cm 두께로 덮어주어 피복을 해주었고, 무피복처리구에는 피복을 하지 않아 차이를 두었다.Tender III에 속하는 ‘tazetta. Shiro Busa’ 품종은 무피복처리포장에서 모두 고사하였고 Hardy I에 속하는‘Cum Laude’, ‘Texas’ 품종과 Hardy II에 속하는‘Apotheas’ 등 14품종은 90-100%의 생존율을 나타내는등 품종간 생존율에 차이를 보였다. 생존율에서는 차이를보였지만, 생육상에 차이는 미비하였으며 화색과 부관의색, 향기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Hardy I에 속하는‘Cum Laude’ 품종과 Hardy II에 속하는 ‘Apothease’,‘Ice Follies’, ‘Orange Ice Follies’, ‘Replete’, ‘WhiteLion’는 초장, 부관의 폭, 화폭 등에서 평균간 유의성을나타냈다. 자구의 수는 품종간 차이를 보이며, 연간 0-2개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도입 수선품종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황색 수선 이외에도 백색, 오렌지색 등의 화색을 지니고, 향기가 풍부한 수선도 있었다. 연구의 결과, 도입수선 26품종 중 수원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의 무피복상태에서도 화단용으로 지속적인 이용이가능한 수선 품종은 RHS 분류체계 Hardy I에 속하는‘Cum Laude’ 및 ‘Texas’ 와 Hardy II에 속하는‘Apothease’, ‘Barrett Browning’, ‘Changing Colors’,‘Dutch Master’, ‘Eastern Dawn’, ‘Garden Giant’, ‘IceFollies’, ‘Obdam’, ‘Standard Value’으로 총 11품종이었다.

서 언

 수선(Narcissus spp.)은 Amaryllidoideae속 수선과에 속하는 구근식물이다. 원산지는 유럽, 남아메리카, 아시아 등으로 알려져 있고, 한국, 중국, 일본 및 지중해 연안에서 60여종이 자생하고 있으나 주로 7종의 수선이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그 이용의 예가 적어 방울수선의 일종인 제주수선이 화단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제주 등 남부지역에 한정적으로 심겨지고 있다(Joung, 1994). 2011년 우리나라의 수선 재배면적은 2.0ha이며 판매량은 410천구에 달하고, 나리, 튤립 등의 구근류에 비하면 소량이지만 서울·경기의 판매량이 55.6%를 차지하여 중부지방에서의 이용이 많다(MFAFFK, 2012).

 구근류 중 인경에 속하는 수선은 온대지방 원산의 추식구근으로 대부분의 구근류와 같이 일정기간 휴면을 하며, 온대지방 원산의 추식구근으로 겨울에서 봄에 생장하고 봄부터 초여름에 개화한다. 수선은 6개의 화판과 꽃부리 가운데의 나팔모양이나 접시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관의 대소장단에 따라서 Trumpet, Largecupped, Small-cupped, Double, Triandrus, Cyclamineus, Jonquilla and Apodanthus, Tazetta, Poetius, Bulbcodium, Split corona, Sprcies and wild forms and hybrids, Miscellaneous의 13가지 종류로 나뉜다(Sukegawa, 2002).

 수선은 매년 굴취하는 대부분의 구근류와 달리 굴취하지 않아도 재배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색과 화형의 변화가 다양하며, 특히 유럽에서 경관형성용의 식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Kennichi et al., 2002). 수선의 이용활성화를 위한 공원 수선화단의 식재관리에 관한 연구(Sukegawa, 2002), 구근식물의 내서성에 대한 평가에 관한 연구(Kenichi et al., 2003) 등이 국외에서 연구된바 있으나, 국내의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제주도, 남부지역 등에서 일부 수선이 자생하고 있어 생육에 알맞은 기후조건인 것으로 생각되나 동계기온이 낮은 중부지역 등에서 이용 가능한 수선의 종류는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부지역인 수원에서 도입 수선품종들의 피복유무에 따른 생육특성과 자구의 증가, 생존율을 조사하여 내한성이 강하고 화단용으로 이용 가능한 수선품종을 다양화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식물재료

 우리나라에서 이용 가능하고 내한성이 강한 수선품종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일본, 화란 등 외국의 육종회사를 통하여 유전자원을 수집하였다. RHS의 분류체계에 따라(Kington, 1989) 내한성 정도를 구분하여 최저적응온도 범위 0˚C, -5˚C, 5˚C의 Hardy I, Hardy II, Tender III에 속하는 ‘Acropolis’ 등 26개 품종(Table 1)의 개화구를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처리구로 나누어 수원소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노지포장에 2010년 10월, 20 × 20cm간격으로 각각 10구씩 식재하였다. 2010년 10월과 2011년 11월, 짚피복처리구에는생짚을 20cm 두께로 피복하였고, 무피복처리구에는 피복을 하지 않아 차이를 두었다. Watch Dog 1000 Series(Inc. Spectrum Technologies)를 설치하여 2011년 1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 처리구의 지중(-20cm)과 지표(-3cm), 그리고 지상(1m)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2011년 3월 짚피복처리구의 생짚을 제거 한 후 2011년 4월부터 5월까지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처리구에 대해 농촌진흥청 농사시험연구조사분석기준(2003)에 따라 특성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성조사는 개화기, 만개하였을 때의 화경장, 부관의 길이, 부관의 폭, 화고, 화폭, 화색, 부관의 색, 향기(관능검사)를 3회 반복 측정하였다. 화색과 부관의 색은 RHS color chart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2011년 8월, 구근의 증식율을 측정하기 위해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처리구의 구근을 굴취하여 각각의 자구 수량과 함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Table 1. The plant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s.

통계처리

 통계분석은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처리구간의 피복 유무에 따른 생육특성별 유의성 검증은 t-검증을 실시하였다(SAS, 2000).

결과 및 고찰

 2011년 12월부터 2012년 2월까지 피복유무에 따른 동계 온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2011년 12월에 무피복처리구의 지표와 지중의 평균온도는 짚피복처리구와 비교했을 때 각각 -2.6˚C, -1.7˚C의 온도차이를 보였으나, 지중은 모두 상온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한겨울에 비해 온도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2월에는 지상과 지표, 지중의 평균 온도는 여전히 무피복처리구가 더 낮았으며, 짚피복처리구의 지중의 평균온도는 -0.5˚C까지 떨어졌다. 또한 짚피복처리구보다 무피복처리구의 지표, 지중의 온도는 약 2˚C 차이가 있었으며, 지상의 온도에 따라 무피복처리구의 온도는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짚피복처리구는 지표와 지중의 온도가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Fig. 1A, B).

Fig. 1. Change of temperature in straw mulching (A) and nonmulching (B) from December 1, 2011 to February 28, 2012. Soil temperature was measured at 20 cm below surface.

수선 26품종의 생존율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처리구에서 ‘Cum Laude’ 등 6품종은 생존율이 100%였으며, ‘Baby Moon’ 등 10품종은 무피복처리구에서 70% 이하의 생존율을 보였다. 무피복처리구의 지표기온은 낮기온의 상승에 따라 변화를 보였지만, 지속적으로 영하 이하의 기온이 유지되었던 지중의 온도로 인해 ‘Sir Winston Churchill’, ‘Geranium’, ‘Replete’, ‘Tahiti’ 4개 품종은 저온의 영향을 받아 60% 이하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짚피복처리구는 피복을 했음에도 ‘Baby Moon’, ‘Tahiti’ 2개 품종이 70%의 생존율을 보이는 것으로 RHS의 내한성 분류체계에 의해 식재된 공시재료 중 내한성이 약한 품종들의 생존율이 더 낮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Sir Winston Churchill’, ‘Slim with Man’, ‘tazetta. Shiro Busa’ 3개 품종은 무피복처리구에서는 각각 50%, 70%, 0%의 생존율을 보였으나, 짚피복처리구에서는 90-100%의 생존율을 보일 정도로 피복의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2). 이는 식물은 저온에 노출될 때 식물의 생육, 생산성 그리고 생장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스트레스를 받는다(Beck et al., 2007; Renaut et al.,2009; Viner et al., 2006)는 보고와 추위와 서리가 성장하는 계절과 식물의 분포를 제한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월동식물이 얼지 않는 저온이나 저온 순화로 알려진 프로세스에 노출되면 식물의 동결내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Sasaki et al., 1996)는 연구보고와도 일치한다. 

Table 2. Compare the survival rate and quantity of bulblets by straw mulching (SM) and non-mulching (NM).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처리구의 자구수의 증가를 확인해 본 결과, 짚피복처리구에서는 ‘Apothease’ 등 14개 품종에서, 무피복처리구에서는 ‘Acropolis’ 등 18개 품종에서 자구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Barrett Browning’, ‘Dutch Master’, ‘Garden Giant’, ‘Geranium’, ‘Sir Winston Churchill’ 품종은 두 처리구에서 모두 자구가 증가되지 않았다(Table 2). 튤립이 모구당 연간 4-7개, 네리네는 모구당 연간 1-3개, 수선은 모구당 연간 2-4개의 자구가 생긴다고 농촌진흥청 표준영농기술(농촌진흥청, 1995)에 보고되어 있지만, 증가한 자구수를 조사한 결과 품종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연간 0-2개의 자구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화기에 수선의 화색, 부관의 색상, 향기 등 짚피복처리구와 무피복처리구의 생육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품종이 생육상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피복유무에 따라서 생육 특성별 평균간 유의성을 보이는 항목이 있었다. Hardy I에 속하는 ‘Cum Laude’ 품종과 Hardy II에 속하는 ‘Apothease’ 품종은, 부관의 폭, 화폭에서 평균간 유의성을 보였으며, Hardy II에 속하는 ‘Ice Follies’ 품종은 개화일, 초장, 부관의 길이에서, Hardy II에 속하는 ‘Orange Ice Follies’ 품종은 부관의 길이, 부관의 폭, 화폭에서, Hardy II에 속하는 ‘Replete’ 품종은 초장, 부관의 폭, 화폭, 화고에서, Hardy II에 속하는 ‘White Lion’ 품종은 초장, 부관의 폭, 화폭에서 평균간 유의성을 보였다. Tender III에 속하는 ‘tazetta. Shiro Busa’ 품종은 무피복처리구에서는 100% 고사하였기 때문에, 전 항목에서 평균간 유의성이 P < 0.001로 나타났다(Table 3). 부관까지 황색을 띄며 향기가 없는 ‘Dutch Master’, ‘Standard Value’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수선과는 달리 ‘Geranium’, ‘Tahiti’ 등 도입 수선품종들은 백색, 오렌지색 등 화려한 색상과 함께 강한 향기를 지닌 것들도 있었다(Table 4).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시장에 유통되고 있던 수선의 대부이 황색계 였음을 감안할 때, 앞으로 향기도 풍부하고 다양한 색상을 가진 도입 품종들을 이용하여 화단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able 3. Significant test of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by Narcissus spp.

Table 4.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Narcissus spp.

 연구의 결과, 도입품종 중 수원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의 무피복처리상태에서 화단용으로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수선품종은 RHS 분류체계 Hardy I에 속하는 ‘Cum Laude’ 및 ‘Texas’와 Hardy II에 속하는 ‘Apothease’, ‘Barrett Browning’, ‘Changing Colors’, ‘Dutch Master’, ‘Eastern Dawn’, ‘Garden Giant’, ‘Ice Follies’, ‘Obdam’, ‘Standard Value’로 총 11품종이었고, 동계기간 동안 피복처리를 한다면 11품종 이외에 Hardy I에 속하는 ‘Sir Winston Churchill’과 Hardy II에 속하는 ‘Delnashaugh’, ‘Ice King’, ‘Slim with Man’, ‘White Lion’ 5품종도 이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품종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내한성품종의 선발 및 품종 육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

1.Hidekazu Sasaki, Kazuo Ichimura and Masayuki Oda. 1996. Changing in Sugar Content during Cold Acclimation and Dracclimation of Cabbage Seedlings. Annals of Botany. 78:365-369.
2.Joung H.Y. 1994. Studies on multiplication system in Narcissus pseudo-narcissus L. By In vitro scape culture and morphological organogenic process. Ph.D.Program in horticultur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p. 1.
3.J. Renaut, S. Planchon, M. Oufir, J.-F. Hausman, L. Hoffmann and D. Evers. 2009. Identification of Proteins from Potato Leaves Submitted to Chilling Temperature. Plant Cold Hardiness:From the Laboratory to the Field. CAB International. p. 279.
4.Kennichi Matsubara, Katsuhiko Inamoto, Motoaki Doi, Genjiro Mori, and Hideo Imanishi. 2002. Growth and Flowering of Geophytes for Landscaping under Deciduous Trees. Sci. Rep. Agric. & Biol. Sci., Osaka Pref. Univ. 54:33-40.
5.Kennichi Matsubara, Katsuhiko Inamoto, Motoaki Doi and Hideo Imanishi. 2003. Evaluation of Heat Hardiness of Certain Geophytes for Landscape Planting. Hort. Res. (Japan) 2:29-33.
6.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2. Statistics for floricultural industry in 2011. p. 137.
7.Royal Horticultural Society (RHS). 2001. Royal horticultural society color chart. RHS, London.
8.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1995. 'Bulbous floriculture cultivation technology' Standard Agricultural Cultivation Book, Suwon, Korea. p. 143-158.
9.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3. Manual for Agricultural Investigation. Suwon, Korea. p. 576-579.
10.SAS. 2000. User's guide. Institute, SAS, Cary, NC, USA.
11.Yasushi Sukegawa, 2002. Control of Plant and Park Management Plan for Narcissus Garden in Hitachi Seaside National Govemment Park toward the Use Activation. The Japanese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p. 172-175.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