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3 No.4 pp.255-260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5.23.4.42

The Optimum Condition of Preserved Flower for Cut Hydrangea macrophylla ‘Ruby’
절화 수국 ‘Ruby’의 보존화 가공 시 적정 처리 조건 구명

Sang Im Oh, Ji Won Yoon, Ja Hee Lee, Min Jung Kang, Ae Kyung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Dankook University, Cheonan 330-714, Korea

오 상임, 윤 지원, 이 자희, 강 민정, 이 애경*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 Ae Kyung Lee Tel: +82-41-550-3646 akleekr@dankook.ac.kr
November 17, 2015 December 18, 2015 December 21, 2015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several factors that influence optimum preservation conditioning on Hydrangea macrophylla ‘Ruby’ after cutting, including the dehydration and decoloring time. 18~24 hours duration was determined as the proper treatment time that conditioned dehydration and decoloring after cutting. Placing cut hydrangea in 95% ethanol for 24 hours, its weight and hunter value a were reduced. Hunter value a of 24 hours was 0.94, which was lower than 33.00, the control value at 0 hours. In addition, hunter value b when treated for 36 hours reached the maximum value, 2.80 because of petal browning. According to the scoring test concerning the degree to which the cut flowers were preserved, solution II consisting of a commercial floral preservative colored with black dye was able to keep 65% of the subjects fresh, which was the maximum preservation rate. Meanwhile, solution II mixed with several dyes including Red 6.7 mL + Yellow 6.7 mL + Blue 6.7 mL + Black 10 mL, and solution II including Red 5 mL + Yellow 5 mL + Blue 5 mL + Black 15 mL has led to 25%, 10% preservation rate,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solution II which retained shape, flexibility and texture of flower were higher than the ones of solution I because solution I (made of 25 mL •L−1 glycol) caused a slight change in flower shape during the drying process. Nevertheless, solution I mixed with black dye showed the highest value of color reproducibility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nd Hunter value L of solution I was the lowest, 15.33 as well. Therefore, optimal treatment that kept cut hydrangea fresh was solution II preservative method, and black coloring treatment effectively dyed the subjects black.


본 연구는 절화 수국 ‘Ruby’의 보존화 가공 시 탈수 및 탈색 시간과 보존및 착색 적정 조건을 구명하고자 실 시하였다. 탈수 및 탈색의 적정 처리 시간은 18 ~ 24시 간으로 판단되었으며, 24시간 후부터 무게가 감소하고 Hunter value a 값이 낮게 조사되었다. 24시간 처리의 Hunter value a 값은 0.94로 0시간 보다 낮게 조사되었으 며, 36시간 처리는 꽃잎의 갈변 현상이 나타났다. 보존 및 착색 처리 결과, 관능평가에서 Solution II와 Black 염료 처리한 보존화가 65%로 가장 높은 선호도를 받았으며, Solution II, Red 6.7mL + Yellow 6.7mL+ Blue 6.7mL + Black 10mL 처리와 Red 5mL + Yellow 5mL + Blue 5mL + Black 15mL 처리가 각각 25%, 10%의 선호도를 받았다. 또한, Solution I은 건조과정 중 형태변형이 나 타나 Solution II의 형태유지성, 유연성, 질감이 Solution I(제작용액)에 비해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그에 반해, Solution I의 색상재현성은 다른 처리보다 높은 점수를 받 았으며, Hunter value L 값도 15.33으로 가장 낮게 조사 되었다. 따라서, Solution II(시판용액)가 절화 수국의 보존 화 가공 시 적정 처리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색 재현성 을 위해 검정색 표현을 위해 Black 염료 단독처리가 효 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초록


    서 언

    화훼장식은 생활 공간을 아름답게 해주고 심리적 안정, 교육적 기회 제공, 공기 정화 등 여러 기능을 가지며 부 케, 리스, 꽃다발, 꽃꽂이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Hwang 2007; Seo 2014). 대부분의 화훼장식품은 절화 및 절엽류로 제작되기 때문에 관상기간이 짧아 오랜 기 간 아름다움을 감상하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생화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기 위해 화훼 가공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화훼 가공에는 건조화와 압화, 보 존화 등이 있다(Hwang 2014). 이 중 보존화(preserved flower)는 생화를 탈수 및 탈색한 후 보존 및 착색 과정 을 거쳐 만드는 가공소재로 생화와 같은 질감을 유지하 면서 다양한 색 연출이 가능하고 오랫동안 시들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Kim 2009a). 이는 1991년 프랑스 베르몽 (Vermont)사에 의해 일반인에게 알려진 후, 2004년 우리 나라에 처음 소개되었으며(Na 2012), 최근에는 관심이 높 아지면서 보존화 가공에 대한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보존화 가공은 생화의 탈수 및 탈색 과정부터 시작되 며, 주로 에탄올을 사용한다. 에탄올은 유기용매로 작용 하여 꽃의 조직에 있는 수분을 없애고, 동시에 탈색 시 키는 역할을 한다(Yoo et al. 2012). 그 후, 소재는 보존 및 착색 처리를 거치게 된다. 보존 및 착색처리를 위한 보존용액은 주로 글리콜을 사용하며, 글리콜은 탈수로 인 해 비어있는 꽃의 조직부분에 흡수되어 꽃의 형태를 잡 아주고 생화와 같은 유연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Kim et al. 2009a). 이 때, 전착제인 tween-20을 첨가하 면 글리콜의 흡수를 촉진시키고 착색이 잘 되게 한다 (Jung 2012). 또한 보존용액 처리 중에 염료를 넣으면 다 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어 생화에서 얻을 수 없는 원 하는 색상을 만들어 표현 할 수 있다(Na 2012). 보존화 연구는 탈수 및 탈색 처리, 보존 및 착색 처리의 적정 처리 시간과 보존 시 글리콜의 적정농도를 구명하는 연 구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주로 연구 소재는 장미, 카네 이션, 유칼립투스(Ahn et al. 2009; Lee et al. 2014b) 등으로 한정되어있어 이 외에도 화훼장식에서 선호하는 소재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절화 수국(Hydrangea macrophylla)은 장미목 범의귀과 에 속하는 식물로 백색계, 분홍색계, 청색계의 색상을 가 지고 있으며(Gu and Cho 2014), 결혼식 연회 장식과 웨 딩 부케 화훼 소재로 장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소재 이다(Kim 2009b; Kim 2010). 최근 절화 수국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절화 수국의 재배는 증가하고 있으 나(MIFAFF 2013) 전체 생산량의 70%가 3월 ~ 11월에 생산되고 있어 화훼 소재로 연중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Lee et al. 2014a).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는 보존 용액은 값이 비싸기 때문에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대체 하고자 보존화 가공 시 탈수 및 탈색 처리, 보존 및 착색 처리의 시판되는 용 액과 이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용액을 통해 보존화를 가공하고, 보존화의 품질을 비교 및 분석하여 적정 처리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보존화 착색 시 절화 수국의 생화로 나타낼 수 없는 검정색으로 염색하고자 하 였다. 또한, 절화 수국을 이용한 보존화 연구 사례는 전 무하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하여 보존화 가공 기술 개 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분홍색 절화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Ruby’를 절화 도소매 시장에서 구입하여, 균일한 크기로 잘라 꽃잎 의 상태가 고르고 상처가 없는 것으로 선별하였다(Fig. 1). 절화 수국은 각 처리당 3반복으로 사용하였다.

    탈수 및 탈색

    절화 수국 ‘Ruby’의 탈수 및 탈색 적정 처리 시간을 구명하고자 유리 원형용기(12.5 × 12.5 × 10cm)에 95%에 탄올(Taejung Co., Korea) 500mL를 넣은 후 절화 수국 을 12, 18, 24, 30, 36시간 침지 처리하였다.

    보존 및 착색

    보존 및 착색 과정은 절화 수국 ‘Ruby’를 95% 에탄 올 24시간 처리 후 보존 및 착색 용액에 24시간 침지하 였다. 보존 용액은 Solution I(제작용액)과 Solution II(시 판용액)로 2가지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Solution I은 99.5% 이소프로판올(Taejung Co., Korea) 1L에 에틸렌 글 리콜(Wako Co., Japan) 25mL • L–1와 글리콜의 흡수를 돕 기 위해 tween-20(Taejung Co., Korea) 20mL·L–1을 혼 합하였으며, Solution II는 전용 보존 용액으로 판매되는 K styles DIY 프리저브드 플라워 β용액(Namu trading, Korea)을 사용하였다. 착색처리는 보존용액 1L에 염료 (Namu trading, Korea) 30mL • L–1를 첨가하였으며 검 정색을 표현하기 위해 Table 1과 같이 처리하였다. 또 한, Namu trading사에서 판매되는 염료는 화훼가공을 위해 제작된 염료이기 때문에 같은 염료를 실험에 사 용하였다.

    조사 및 분석

    탈수 및 탈색 처리를 마친 절화 수국은 처리 전과 후 의 무게를 측정하여 탈수로 인해 빠진 수분량을 변화율 로 조사하였으며, 색차계(CR-400, Minolta, Japan)를 이 용하여 Hunter L 값(lightness; 100, darkness; 0), a 값 (red-green; + = red, – = green), b 값(yellow-blue; + = yellow, – = blue)을 측정하였다. 에탄올 처리 전과 후 꽃 잎 색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비교하기 위해 ΔE(색차값) = [(ΔL)2+ (Δa)2+ (Δb)2]–2식에 Hunter L, a, b 값을 대입하 여 산출하였으며, 대조구의 ΔE 값은 0으로 ΔE 값이 작 을수록 화색이 대조구와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Jung, 2012). 보존 및 착색 처리 후에는 Hunter L, a, b 값을 조사하였으며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평가는 원예전 공 20대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보존용액 처리 후 건 조된 상태의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색상 재현성, 균일성, 형 태유지성, 유연성, 질감으로 구분하여 5점 척도법(매우 좋 음: 5점, 좋음: 4점, 보통: 3점, 좋지 않음: 2점, 매우 좋 지 않음: 1점)으로 평가하고 평균값을 나타내었으며, 선 호도를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측정한 결과 값들을 통계분석용 프로그램 SAS(SAS 9.0, SAS Institute lnc., USA)를 이용하여 5% 유의 수준에서 Duncan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을 통해 처리간의 유의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탈수 및 탈색

    탈수 및 탈색한 절화 수국의 무게 변화를 조사한 결 과, 12시간과 18시간 에탄올 처리는 무게가 증가하였으 며, 24시간 후부터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Fig. 2). 이는 절화 수국이 탈수되지 않고, 에탄올을 흡수한 것으 로 판단되었으며, Kim(2009a)의 연구에서 루스커스에 에 탄올을 처리 시 24시간 까지 무게가 증가한 후 다시 감 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Jung(2012)의 연구에서 맨드라미의 적 정 탈수 시간이 24시간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 결과와 유 사하였다. 이는 침지 처리 24시간 후부터 수분제거용 유 기용매로 사용된 에탄올의 영향으로 절화 수국 내 세포 의 탈수가 진행되어 무게가 감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절화 수국의 탈수 및 탈색 처리 30시간 이상 경과되면, 루스커스의 연구 결과와 같이 오랜 시간 동안 침지 시 탈수가 많이 되어 꽃잎이 마르고 부서지는 현 상(Kim 2009a)이 나타났으며, 꽃잎이 갈변되는 경향이 나 타났다(Fig. 3).

    에탄올 침지 시간이 탈색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한 결과, 절화 수국의 탈색 정도는 Hunter a 값을 통해 분석하였으며(Table 2), 분홍색 계열인 절화 수국 ‘Ruby’ 의 처리 전 Hunter a 값은 33.00이었으나 에탄올 침지 후 시간이 경과 할수록 탈색이 진행되어 a 값이 점차 낮 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Hunter L, a, b 값을 이용하여 에탄올 처리 전과 후의 화색 차이를 E 값으로 조사한 결과, 에탄올 침지 시간 이 오래 될수록 E 값이 커졌으며(Table 2), 대조구의 E 값은 0으로 처리구의 ΔE 값이 작을수록 대조구에 가깝 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탄올 12시간 처리한 수국의 ΔE 값이 31.25로 다소 낮았고, 처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값이 커지면서 36시간 처리 시 33.54으로 높은 값을 나 타냈다. 이 또한 Hunter b 값의 결과와 같이 절화 수국 의 꽃잎의 갈변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장 미 ‘vital’의 에탄올 처리의 E 값이 24시간 이후부터 감 소된다는 결과와 상반되었다(Park et al. 2009).

    따라서 절화 수국의 보존화 가공 시 탈수 및 탈색 적 정 처리 시간은 18 ~ 24시간으로 판단된다.

    보존 및 착색

    탈수 및 탈색 과정을 24시간 처리 후, 절화 수국 ‘Ruby’의 보존화 가공 시 글리콜을 넣어 제작한 Solution I과 시중에 판매되는 Solution II로 보존 및 착색한 결과 를 비교하였다. 수국의 생화에서 얻을 수 없는 색인 검 정색을 표현하기 위해 검정색 염료 단독 처리와 흰색 염 료로 초벌 후 검정색 염료 처리, 색의 3원색 원리를 이용 한 염료 처리의 방법으로 착색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보 존용액의 종류에 따라 착색의 정도가 다르며 품질 또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Solution I과 Solution II의 착색 비교는 다음과 같다(Table 3).

    명도를 나타내는 Hunter L 값은 낮을수록 검정색이 표 현됐음을 알 수 있으며, Solution I의 검정색 염료 단독 처리의 L값이 15.33으로 같은 착색 방법을 사용한 Solution II를 포함하여 다른 착색 방법들과 달리 낮게 조 사되었다. 따라서, 절화 수국의 보존화 가공 시 검정색 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Solution I의 검정색 염료 단독 처 리를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판단되나 Solution I으로 보 존용액 처리 시 건조하는 과정에서 보존화가 수축되는 현 상이 일어나 화훼 장식 소재로는 사용이 불가능할 것으 로 사료된다(Fig. 4).

    이러한 결과는 관능평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관능 평가는 가공된 보존화 수국 ‘Ruby’를 건조시킨 후 색상 의 재현성, 균일성, 형태유지성, 유연성, 질감에 대해 조 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4).

    관능평가 결과, 전체 선호도 조사에서 Solution I에 비 해 Solution II의 검정색 염료를 단독으로 처리한 보존 화를 65%로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한 착색의 균일성에 대하여 보존용액 간의 큰 점수 차 이는 없었으나 색상의 재현성에서는 Solution I의 검정색 염료를 단독으로 사용한 A 처리와 혼합하여 사용한 E 처리가 각각 4.00과 4.10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Ahn et al.(2009)Kim et al(2009b)에서 장미와 안개초의 프리저브드 플라워가공 시 글리콜 농도 25mL • L–1에서 24 시간 처리가 화색 관능평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는 점에서 결과가 비슷하였다. 품질과 관련된 형태유지 성, 유연성, 질감의 관능평가 조사 결과, Solution I의 보 존화가 건조과정에서 수축현상으로 인해 Solution II가 Solution I보다 형태유지성, 유연성, 질감의 관능평가에서 높 은 점수를 받았으며, 절화 수국의 보존화 가공 시 Solution II 사용이 품질에 효과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Jung(2012)에서 카네이션의 보존화 가공 시 글리콜의 높 은 농도보다 낮은 농도에서 꽃잎 수축과 말림현상이 일 어났다는 점에서 절화 수국의 보존화 가공 시 사용된 제 작용액의 글리콜 농도가 낮아 유연성이 저하되고, 형태 가 유지되지 않아 절화 수국의 보존화가 수축 되어 품 질 저하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절화 수국의 보존화 가공을 위한 보존 및 착색 시 Solution II를 사용하는 것이 품질에 효과적이며, 검정 색을 표현하기 위한 착색 방법은 검정색 염료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색 재현성에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 후에는 Solution I인 제작용액 사용 시 건조과정에서 수국 이 수축하는 현상으로 사용이 불가피 하기 때문에 이를 방 지할 수 있는 보존용액의 최적 처리 조건 구명에 관한 연 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 할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FRJ-23-255_F1.gif

    Hydrangea macrophllya ‘Ruby’.

    FRJ-23-255_F2.gif

    Change of weight in H. macrophylla ‘Ruby’ affected by dipping time with 95 % ethanol.

    FRJ-23-255_F3.gif

    Color and shape of the H. macrophylla ‘Ruby’ as affected by the dipping time in 95% ethanol. A, Control; B, 12 hr; C, 18 hr; D, 24 hr ; E, 30 hr; F, 36 hr.

    FRJ-23-255_F4.gif

    Color and shape of H. macrophlla ‘Ruby’ as affected by preserved solution. A ~ E, Solution I (made of 25 mL • L–1glycol); F ~ J, Solution II (sales preserved flower solution); A, F, Only black 30 mL (24 hr); B, G, White 30 mL (12 hr)→black 30 mL (12 hr); C, H, Red 5 mL + yellow 5 mL + blue 5 mL + black 15mL (24 hr); D, I, Red 6.7mL + yellow 6.7 mL + blue 6.7 mL + black 10mL (24 hr), E, J, Red 3.3 mL + yellow 3.3 mL + blue 3.3 mL + black 20 mL (24 hr).

    Table

    Preserved flower coloring treatment methods.

    zOnly black 30 mL.
    yWhite 30 mL, black 30 mL.
    xRed 5 mL + yellow 5 mL + blue 5 mL + black 15mL.
    wRed 6.7 mL + yellow 6.7 mL + blue 6.7 mL + black 10 mL.
    vRed 3.3 mL + yellow 3.3 mL + blue 3.3 mL + black 20 mL.
    uMean after white dye immersed for 12 hr, black dye immersed for 12 hr.

    Hunter value L, a, b and E of H. macrophylla ‘Ruby’ by dipping time in 95% ethanol.

    zL: lightness (0 = black, 100 = white), a: red-green (+ = red, − = green), b: yellow- blue (+ = yellow, − = blue).
    yΔE = [(ΔL)2+ (Δa)2+ (Δb)2] −2.
    x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Hunter value L, a, b of Hydrangea macrophylla ‘Ruby’ by preservation and coloring.

    zL: lightness (0 = black, 100 = white), a: red-green (+ = red, − = green), b: yellow-blue (+ = yellow, − = blue).
    ySolution I; made of 25 mL • L−1glycol, Solution II; sales preserved flower solution.
    xA: Only black 30 mL (24 hr), B: White 30 mL (12 hr)→black 30 mL (12 hr), C: Red 5 mL + yellow 5 mL + blue 5 mL + black 15 mL (24 hr), D: Red 6.7 mL + yellow 6.7 mL + blue 6.7 mL + black 10 mL (24 hr), E: Red 3.3 mL + yellow 3.3 mL + blue 3.3 mL + black 20 mL (24 hr).
    w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Panel scoring by preserved flower H. macrophylla ‘Ruby’.

    zSolution I: made of 25 mL • L−1 glycol, Solution II: sales preserved flower solution.
    yA: Only black 30 mL (24 hr), B: White 30 mL (12 hr)→black 30 mL (12 hr), C: Red 5 mL + yellow 5 mL + blue 5 mL + black 15 mL (24 hr), D: Red 6.7 mL + yellow 6.7 mL + blue 6.7 mL + black 10 mL (24 hr), E: Red 3.3 mL + yellow 3.3 mL + blue 3.3 mL + black 20 mL (24 hr).
    x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Reference

    1. Ahn JS , Park YJ , Kim HJ , Kim HA , Kim SJ , Heo BG (2009) Effect of glycol treatment preserved flower processing of rose ‘Aqua’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7 ; pp.-150
    2. Gu BS , Cho MS (2014) Effects of IBA and rooting media on rooting of cut Hydrangea macrophylla , Flower Res J, Vol.22 ; pp.60-67
    3. Hwang JS (2007) Solution to advancement in current status and contents of korean floral design education agency , Yungnam Univ,
    4. Hwang SM (2014) Utilization of preserved flower and expert’s recognition in korea , Mater Thesis. Graduate of Horticulture and Bio-technology. Korea Univ. Seoul. Korea,
    5. Jung ES (2012) Processing method for preserved flower of Celosia cristata , Master Thesis. Graduate school of Horticulture Science. Wonkwang Univ. Iksan. Korea,
    6. Kim GJ , Jeong SJ , Jeong MI , Song JS , Yoo EH , Seo YW , Kim HD (2009a) Utilization of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for comparison of qualities in preserved flower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7 ; pp.-147
    7. Kim HY (2009a) Preserved flower processing in ruscus and carnation ,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Horticulture Science. Wonkwang Univ. Iksan. Korea,
    8. Kim HJ , Kim HA , Ahn JS , Park YJ , Heo BG , Cheong DC (2009b) Effects of glycol treatments on processing preserved flower of Gypsophlia paniculata ‘Shine’ and ‘Whitecream’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27 ; pp.-152
    9. Kim JY (2010) Analysis on domestic trends of wedding bouquets in 2010 ,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Vol.13 ; pp.61-67
    10. Kim SY (2009b) A study of floral art&design products in hotel bouquet-Focused on the first grade C hotel in Seou , Master Thesis. Graduate of floral and plant design. Dankook Univ. heonan. Korea,
    11. Lee JS , Ahn JS , Hwang IT , Gi KY , Cho KS , Yoon BK (2014a) Blooming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collected cultivar in Hydrangea for cut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32 ; pp.-197
    12. Lee SH , Lee JH , Kang MJ , Lee JW , Lee AK (2014b) Study on the optimum condition of preserved flowers for eucalyptus and lemon leaves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32 ; pp.210-211
    13.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MIFAFF) (2013) Present condition of flower production , Gwacheon, Korea
    14. Na SY (2012) A Study on the preserved flower product design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Vol.26 ; pp.51-70
    15. Park YJ , Ahn JS , Kim HA , Heo BG , Kim HJ (2009) Effect of ethanol and glycerine treatment at preserved flower processing of Rose ‘Vital’ ,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Vol.12 ; pp.75-82
    16. Seo JH (2014) The review on the study of floristry’s definition and education curriculum , Korea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Vol.30 ; pp.179-790
    17. Yoo EH , Seo HW , Lee JA , Kim GJ , Song JS (2012) Quality of preserved flowers affected by atmospheric relative humidity , Korean J Hort Sci Technol, Vol.30 ; pp.-189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