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27 No.1 pp.35-41
DOI : https://doi.org/10.11623/frj.2019.27.1.06

Evaluation of the Perception and Operation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at Children’ s Community Centers in Cheonan, Korea
천안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식과 운영실태 분석

So Young Choi, Won Hui Kim, Young Seo Lee, Ja Hee Lee, Ae Kyung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college of Bio-resource Science, Dankook University, Cheonan 31116, Korea

최 소영, 김 원희, 이 영서, 이 자희, 이 애경*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환경원예학과
Corresponding author: Ae Kyung Lee Tel: +82-41-550-3646 E-mail: akleekr@dankook.ac.kr
04/10/2018 22/02/2019 25/03/2019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perception and present status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s at children’s community centers in Cheonan, Korea, that would enable the development and support of additional program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visits, e-mail, and telephone with center staff at children’s community centers f rom February 26 to March 9, 201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SPSS v. 23.0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d multiple response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only approximately 51% of the children’s centers in Cheonan provided horticultural activities more than one time. Among these 51%, only 40% continued the program for > 3 months. Budget constraint was the main reason for which 49% of the centers did not provide these programs. When we surveyed staff on the importance of horticultural activity for children, 96.1%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a program such as this is necessary, and 56.9% were highly interested in its creation. Most respondents strongly supported a program with expected results of it being helpful for emotional stability and social development. Based on our results, most center staff are interested in creating a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however, some consider it as being only temporary. Thus, an initial step in creating such a program would be to focus on advertising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education in horticulture is worthwhile. In addition, a dedicated budget is crucial to implementing the program at least once a week and to maintaining it to realize any expected benefits.




초록


    서 언

    아동기 성장 발달은 학교교육 및 학습 발달, 친구관계 형 성에 의한 사회성 발달, 아동 가족과의 관계에 의한 소통 발 달 3가지로 이루어지며, 가족 구성원과 함께 시간을 보내거나 여행, 대화 등을 통해 성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Choi 2018). 21세기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중산층이 무너지면 서 불안정한 사회 분위기가 지속되고, 부의 양극화 현상이 심 화되기 시작하여 맞벌이가 늘고, 이혼율도 증가하며, 경제적 어려움으로 우울과 불안감 등 다양한 사회 정서적 문제가 야 기되었다. 이에 점차 조부모에게 맡겨지거나 시설에 맡겨지는 아동의 수도 증가하였다(Park and Kim 2010). 지역아동센터 는 가정에서 방임되기 쉬운 아동을 양육, 보호하는 제 2의 부 모 역할과 교육기관의 역할로서 학습지원, 심리정서지원, 문 화체험 등을 수행하고 있다(Kim 2018). 지역아동센터의 수는 14년 동안 4.5배 이상의 속도로 증가하여 2017년도 기준 아동 복지시설 중에 이용자수가 가장 많은 시설이 되었다(MOHW 2018).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은 대부분 빈곤 가정으 로, 부모의 적절한 교육이 어렵고 가정 및 학교와 같은 사회에 서 스트레스로 인해 불안정한 정서 상태와 부정적인 신체발달 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 미술 등을 통한 정서 프로그램들을 실시하고 있으며 원예활동을 치료적 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다양한 정서 프로그램 중 원예활동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 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Choi and Koh 2014;Choi et al. 2013;Jeon 2015), 학교적응 및 학습흥 미도, 집중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Han and Yoo 2014;Kim and Lee 2008). 그러나 현재 지역 아동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서 프로그램은 음악 및 미술 프로그램으로 한정적이며, 원예활동 프로그램 운영은 부족한 실정이다(Choi and Koh 2014).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지역 아동센터 원예활동 프로그램 운영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 련하기 위해 충청남도 천안에 위치한 59개의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식과 운영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연구기간 및 대상

    충청남도 천안에 위치한 59개소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2018년 2월 26일부터 2018년 3월 9일까지 11일간 e-mail, 전 화조사, 방문조사를 이용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가 배포된 천안지역아동센터 59개소 중 설문조사에 참여한 51개 소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 연구(Jeon 2015;Lee et al. 2011)를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33문항으로 모두 객관식으로 구성되었고,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2문항, 지 역아동센터 일반적 사항 4문항,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현황조 사 10문항,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8문항, 기대효과 9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 PSS 23 .0(IBM I nc, NY, USA)통계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에서 전체 대상자들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인지도, 기대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원예활동 프로그램 관심도와 기대효과 간의 Pearson's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지역아동센터의 일반적 사항

    지역아동센터의 일반적 사항을 조사한 결과(Table 1), 지역 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대상자의 인원수는 20~30명이 60.8%(31 개소)로 가장 많았고, 30~40명 1 3 .7%(7개소), 10~20명 11.8% (6개소), 40명 이상 9.8%(5개소), 5~10명 3 .9%(2개소)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12월말 기준으로 조사한 전국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수는 한 센터당 평균 28.9명의 아동으로 보고된 결 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MOHW 2018). 이용자의 평 균 연령은 10~15세가 74.5%(38개소)로 과반수이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5~10세 15.7%(8개소), 15~20세 9.8% (5개소)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현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 동 중 초등학교 고학년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된 결과와 일 치하였다(MOHW 2018).

    원예활동 프로그램 현황조사

    천안시 내의 지역아동센터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 시행 여 부 및 현황조사를 실시한 결과,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해 본 적이 있는 곳은 25개소(49%), 실행되지 않은 곳은 26개소 (51%)로 원예활동 프로그램 시행 여부에 따른 비율의 큰 차이 는 없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한 지역아동센터를 대 상으로 조사한 결과, 프로그램 진행기간은 ‘1~3개월’이 60% (15개소)로 가장 높았으며, ‘3~6개월’ 20%(5개소), ‘6~12개월’ 16%(4개소), ‘12~24개월’ 4%(1개소) 순으로 조사되었다. 프로 그램의 지도자로는 ‘복지원예사’가 52%(13개소)로 관련전공자 가 진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사’가 24%(6개 소), ‘기타’ 16%(4개소), ‘자원봉사자’가 8%(2개소)순으로 나타 났고, 기타 의견으로 원예 관련 종사자 등이 있었다. 이는 복 지원예사를 취득하지 않았어도 전공자가 지도자로 프로그램 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는 ‘예산’42.3%(11개소), ‘인력’ 23%(6개 소), ‘아동의 호응’ 3 .8%(1개소)로 조사되었고, 기타 의견으로 홍보부족 등이 있었다(Table 2). 이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현재 시행되고 있는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예산부담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노인요양센터에서 다른 재활 프로 그램에 비해 재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원예활동 프로그램 특성 상 적극적인 제공이 어려워 예산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Lee et al. 2011). 앞으로 복지원예사 는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예산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계획할 필요가 있고, 개인 및 단체의 후원금이나 지방자치단체의 보 조금 등으로 충분한 재정을 확보하여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정 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지도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Table 3), 원예 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한 곳은 96.1%(49개소), ‘필요하 지 않다’고 한 곳은 3.9%(2개소)로 조사되어 지역아동센터에 서는 대부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음’이 46.9%(23개소), ‘인지발달뿐만 아니라 감성발달에도 많은 영 향을 미칠 수 있음’ 38.7%(19개소), ‘자연 친화력이 높음’ 10.2% (5개소)등의 이유로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 그램 관심도는 ‘매우 그렇다’가 55.1%(27개소)로 과반수 이상 이었으며, ‘그렇다’가 40.8%(20개소)로 나타났다. 2012년 ‘도시 농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도시민들이 도시텃밭, 주말농장, 도시농업 등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어 원 예활동에 관한 인지도와 관심도가 높게 나온 것으로 판단되며 (Kwag et al. 2018;Park 2016), 원예활동이 아동에게 정서적 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Choi et al. 2012;Choi et al. 2013;Park et al. 2015).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지도자는 ‘복지원예사’ 79.5%(39개소)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상관없음’ 8.1%(4개소), ‘자원봉사자’ 6.1% (3개소)순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 운영 시에도 프로그램 정식 지도자로 전문 인력인 음악치료사를 고용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도록 해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Kim 2006). 이는 원예활동 프로그램 운영 시에도 전문적인 자격을 부여받은 복지원예사를 고용하여 전문성 있는 프로그램이 운 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기대효과

    지역아동센터에서의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효과를 조사한 결과(Table 4), 아동의 인성함양에 도움을 준다는 문항 에서 ‘매우 그렇다’ 64.7%(33명), ‘그렇다’ 29.4%(15명), ‘보통 이다’ 5.9%(3명) 순으로 결과가 나왔으며, 아동의 정서안정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문항에서는 ‘매우 그렇다’ 68.6%(35명), ‘대 체로 그렇다’ 29.4%(15명)로 나타나 원예활동이 인성함양과 정서안정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는 원예활동이 저소득 결손가정 아동의 정서발달과 자연친 화적 태도에 효과가 있으며, 아동이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관 찰하면서 생명의 소중함과 간접적인 양육체험을 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Kim et al. 2007;Woo et al. 2015), 본 연구에서의 지역아동센터 소장들도 원예활동에 대해 유사한 기대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 이라는 문항에서는 ‘매우 그렇다’54.9%(28명), ‘그렇다’ 29.4% (15명), ‘보통이다’ 9.8%(5명), ‘대체로 그렇다’ 5.9%(3명) 순으 로 응답하여 과반수가 넘는 응답자가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아 동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아동기 의 사회성은 새로운 환경에서 타인과의 원만한 사회생활과 사 회적 가치의 성취를 위해서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된다(Merrill 1972;Nam et al. 2010). 원예활동이 정서적으로 불안한 아동 에게 올바른 사회성 발달에 효과가 있으며(Lee at al. 2008;Yun and Yoo 2011),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언어순화와 대인 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보고 등과 같이 원예 활동 프로그램으로 인해 아동의 인성함양, 정서안정 및 사회 성 발달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였는데(Jeong et al. 2015), 이들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본 연구에서도 원예활 동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아동의 창의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문항에서는 ‘매우 그렇다’ 56.9%(29명), ‘대체로 그렇다’ 37.3% (19명), ‘보통이다’ 5.9%(3명)로 창의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이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 동의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이었다는 연구결과와 동일하였다 (Ju 2008).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관심도와 기대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Table 5), 관심도와 아동의 인성함양간의 상관관 계는 p≤0.05 or 0.01 유의수준 내에서 R=0.576으로 높은 상 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정서안정에 있어 서도 R=0.515로 나타났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다 고 답한 응답자는 센터 내 아동들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으로 인해 인성함양과 정서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 다. 또한 아동의 인성, 정서, 사회성, 창의성간의 상관관계는 0.01 유의수준 내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면서 서로 간에 영향을 많이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예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심리적 안녕감 및 사회성 발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결과와 일치하였다(Lee 2017).

    따라서, 본 연구 조사 결과 지역아동센터에서 원예활동 프 로그램 확대를 위해서는 프로그램 보조금 지원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전문 인력인 복지원예사를 프로그램 지도자 로 고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계 획할 시 단기적인 프로그램으로 아동의 인성, 정서, 사회성, 창의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진행한다면 아동에게 유용할 것으 로 보인다. 현재까지 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기 때문에 더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인식 조사 결과에 따라 지역아동센터에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운영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원예활동 프로그램 인식 과 운영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지역아동센터 원예활동 프로그 램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 청남도 천안시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 소장을 대상으로 2018 년 2월 26일부터 2018년 3월 9일까지 방문, 이메일, 전화를 이 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다중응답분석 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한 결과, 천안시의 지역아동센터 중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실행해 본적이 있는 곳은 49%, 실행 해보지 않은 곳은 51%로 나타났다. 실행해 본 적이 있는 곳 중 3개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한 센터는 40%에 불과했으며 주 1회, 1시간으로 복지원예사가 진행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 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는 ‘예산’ 이었다. 인지도를 살펴보면, 응답자 중 96.1%가 원예활동 프 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56.9%가 원예활동프로그 램에 매우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의 실 행으로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에게 기대하는 효과로는, 정서안 정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 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많은 소장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관심은 많지만, 일회성 프로그램으로 인식한다고 생각되어 원예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교육이 필 요하다고 사료되며, 앞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 프로그램을 진 행할 때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 향상’을 목적으로 ‘주 1회’로 지속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의 예산확보와 원 예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igure

    Table

    General feature of child community center.

    Present of horticultural program.

    Perception of horticultural program.

    Expect of horticultural program.

    Horticultural activity satisfaction and correlation of expectancy effects.

    Reference

    1. ChoiHJ , YunSY , ChoiBJ (2013)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xpression, emotion and sociality of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 J People Plants Environ16:25-260
    2. ChoiPR (2018) The convergence arts education operating experience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 MS-thesis, Dongduk Univ, Seoul, Korea
    3. ChoiSJ , KohYS (2014) Effect of combined program of horticultural therapy and forest therapy on self-esteem, social competence, and life respect of low-income family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s center . J School Social Work29:671-698
    4. ChoiYN , KimYA , JangEJ , PakCH (2012)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female reformatory students to improve adolescent personality . J People Plants Environ16:67-74
    5. HanMH , YooYK (2014)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competency and school adjustment in Saturday after-schoo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J People Plants Environ17: 275-279
    6. JeonML (2015) An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confidence and self-respect of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are . J Transactional Analysis & Counseling5:37-56
    7. JeongMS , SeoHJ , InHJ , ChoWK (2015)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language purification and personal relations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 J People Plants Environ18:145
    8. JuYY (2008)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development of at-risk children’s creativity. MS-thesis, Catholic Univ, Daegu, Korea
    9. KimDH (2018) A study on th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use time and the related factors for the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Korean J Social Welfare Studies 49:159-180
    10. KimHY , LeeES (2008)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concentration and prosocial 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Flower Res J 16:102-106
    11. KimJR (2006) Special educators and music therapists’ recognition of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 Korena J Music Therapy Educ 3:1-11
    12. KimSK , LeeJS , Chen JN, Chiang MH(2007) The effect of psychological-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for promoting emotional intelligence. J People Plants Environ 10:135-141
    13. KwagJS , ChoEJ , Jeong ME, Ju KY, Jeon DY, Jeong HC(2018) A study of the urban garden soil health in Busan area. Korean Soc Soil Sci Fert 51:197-203
    14. LeeSD , JangEJ , Pak CH(2011) The recogn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t Seoul type day-care centers. J People Plants Environ 15:79-84
    15. LeeSH (2017)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ity development. MS-thesis, Daegu Catholic Univ, Daegu, Korea
    16. LeeSH , YunSY , Kim HY(2008) Effect of after school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social ability and emotion of children from the low income families. J People Plants Environ 11:49-54
    17. ParkSA , JeongMS , Lee MW(2015)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J Korean Inst Landscape Architecture 43:43-51
    18. ParkSY (2016) Nutrient status of the soils used for urban agriculture in metropolitan city of Seoul. MS-thesis, Seoul Univ, Seoul, Korea
    19. ParkYH , KimHY (2010)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the child welfare institutions. J People Plants Environ 13:7-11
    20. MerrillFE (1972) Society and culture. Nostrand Co, New York, USA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8) The survey of community child center statistics. www.mohw.go.kr
    22. NamJE , JangEJ , Pak CH(2010) Effect of the ecological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f the nature school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bility. Korena J Hort Sci Technol 28:314-318
    23. WooMR , YunSY , Choi BJ(2015)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 J People Plants Environ 18:437-440
    24. YunEJ , YooYK (2011)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mental health, self-esteem, and sociality i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y. J People Plants Environ 14:17-22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