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0 No.4 pp.205-210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2.30.4.05

Pulsing Treatmen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to Extend the Vase Life of Cut Rose ‘Bubble Gum’
장미 ‘Bubble Gum’의 절화수명 연장을 위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침지처리

Ye Rin Kim, Ju Hwi Kim, Young Boon Lee*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61186, Korea

김 예린, 김 주휘, 이 영분*
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 Correspondence to Young Boon Lee Tel: +82-62-530-2062 E-mail: dudqns2@jnu.ac.kr
04/10/2022 22/12/2022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eatment effec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HOCl, pH 6.26) on cut rose ‘Bubble Gum’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 preservative solution. HOCl 30 μL・L-1 was treated for 0, 0.5, 1, 3, and 5 min. The vase life of 5 min treatment was 2.1 days longer than of the control. In all treatments, the relative fresh weight increased by 2 days, and the vase solution uptake increased by 6 days and then decreased. The ΔE value of treatments on 3 min (5.25), 5 min (6.48), 0.5 min (6.65), and 1 min (6.79)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ich is the rate of change in petal color. in petal color. With 5 min treatment, the flower size was the largest (145%). The chlorophyll content of leaves did not differ in all treatments. In conclusion, the vase life of the cut rose “Bubble Gum” was effectively extended by the 5 min pulsing treatment with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본 연구는 장미 ‘Bubble Gum’의 절화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미산성 차아염소산수(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HOCl, pH 6.26)의 처리효과와 절화수명 연장제로써 의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침지처리는 30μL・L-1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0분, 0.5분, 1분, 3분, 5분간 침지처 리 후 수돗물(Tap water, control)에 꽂아 두었다. 대조구의 절화수명은 8.7일인데 비해 5분 침치처리 시 10.8일로 대조 구보다 2.1일 수명을 연장시켰다. 상대생체중은 모든 처리구 에서 2일까지 증가하였고, 수분흡수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6일 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화색 변화율인 ΔE 값은 3분(5.25), 5분(6.48), 30초(6.65), 1분(6.79) 침지처리 에서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상대 화폭 증가율은 5분 침지 처 리구가 145%로 화폭의 증가율이 가장 컸고, 엽록소함량은 처 리 간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절화장미 ‘Bubble Gum’의 절화수명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5분 침지 처리가 효과적 으로 연장시켰다.



초록


    서 언

    절화장미는 세계 3대 화훼 작물로 계절과 특정시기에 상관 없이 연중 소비되고 있다(MAFRA 2022;Park et al. 2022). 그러나 국내 절화 소비량은 감소하고 있으며, 국민 1인당 화 훼 소비액이 2005년 20,870원에서 2020년 12,386원으로 대폭 하락했다(MAFRA 2022). 절화 소비량 감소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짧은 수명이 35.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KREI 2019). 특히 장미는 다른 절화에 비해 수분의 흡수가 원활하지 못하며 품종에 따라 꽃목굽음(Bent neck)이 많이 발생하고, 절화를 물속에 꽂아 놓았을 때 미생물이 절화의 줄 기 절단면으로 침입하여 도관을 폐쇄시켜 수분이동을 억제하 여 품질을 저하시킨다(Zieslin 1989). 절화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수확 직후 수분과 당 에너지를 충족시키는 전처리를 하거나 영양제 또는 살균제 등을 보존용액으로 처리하는 등 절화보존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Lee 2008). 절화의 수 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차아염소산나 트륨(NaOCl)과 같은 염소계 살균제가 있지만, 사용 및 폐기 시에 발암물질인 trihalomethane(THM)이나 염화페놀 등 독 성물질을 생성하여 환경오염의 우려가 있다(Goo et al. 2020).

    한편, 미산성 차아염소산수(HOCl)는 무격막 전해조에서 공 급하는 희석염산이 전해에 의해서 양극에서 염소가 음극에서 수소를 발생시켜 생성되며, 생성된 염소는 물에 녹아 차아염 소산용액을 연속적으로 생성한다(Xiong et al. 2010). 이를 원수에 희석하면 유효염소농도 20~30μL・L-1, pH 5.0~6.5의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된다(Song et al. 2013).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세균의 세포막이나 세포벽을 파괴시키고, 소 독과정에서 잔류물이 남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시간 경과 에 따라 물로 환원되어, 차아염소산나트륨에 비하여 안전하고 강 력한 살균력을 가지고 있다(Goo et al. 2020). 미산성 차아염소 산수에 관한 기존 연구에 따르면, 20~30μL・L-1(pH 5.0~6.5)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식물병원균인 Colletotrichum acutatum, Botrytis cinereal, Penicillium hirsutum에 강하고 광범위한 살균력이 확인되었으며,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1분 처리한 것 에 비해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30초 처리가 살균력이 뛰어났 다(Song et al. 2013;Yoon 2006;Yoon et al. 2021). 또 한 염화칼슘의 전기분해수를 보존용액으로 사용했을 때, 전기 분해수의 살균력이 미생물로 인한 도관막힘을 억제하여 HOCl 수용액을 사용했을 때와 유사하게 장미의 절화수명이 연장된 것을 알 수 있었다(Ohta et al. 2000). 따라서 본 연 구는 절화장미에 대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침지처리 효과 를 알아보고, 절화 보존제로써의 적용 가능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 및 처리 내용

    식물재료는 광주광역시 소재 화훼단지 내 장미생산농가에 서 절화장미(Rosa hybrida) ‘Bubble Gum’ 품종을 상업적 수 확단계(Kumar et al. 2008)에서 수확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 확 후 전남대학교 원예품질관리연구실로 운송하여 줄기를 40cm 길이로 재절단하고, 절단된 부위부터 하위 15cm까지 의 잎을 제거하여 평균 중량이 29.5g인 것을 사용하였다(Lee 2008;Park et al. 2021). 침지 용액은 씨앤케이라이프코리 아에서 제조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구매하여 사용하였고, 실험 직전 측정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잔류염소 농도는 30μL・L-1(HI96771 Chlorine, Ultra High Range ISM, Hanna instruments Inc., USA), pH 6.26(Orion Star A211 pH Benchtop Meter, Thermo Scientific, USA)이었다. 침지 처리는 미산성 차아염소산수(HOCl)를 0, 0.5, 1, 3, 5분간 처 리 침지 처리 후 300mL의 수돗물(Tap water)이 담긴 1L 유 리 용기에 절화를 9반복으로 임의 배치하였다(Song et al. 2013). 실험환경은 기온 24.0°C, 상대습도 54±5%, 광도 15.4μmol・m-2s-1 일장 12시간으로 조절하였다(Fanourakis et al. 2013). 절화수명 종료시점은 꽃잎 및 잎이 30% 이상 시들고(Wilting flower), 꽃목이 30°이상 굽거나(Bent neck) 잿빛곰팡이병 발병(Botrytis cineria) 등 관상가치가 떨어지는 시점으로 정하였고, 절화수명 종료 증상을 전체 절화 대비 백분 율로 나타냈다(Fanourakis et al. 2013;Lee and Kim 2020). 수 분흡수율과 상대생체중은 Chamani and Esmaeilpour(2007) 의 식을 이용하여 이틀 간격으로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꽃잎 의 화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하나의 꽃잎을 고정적으로 정 해놓고 모든 개체를 색채색차계(CR-20, MINOLTA, Japan) 를 이용하여 L*(darkness-brightness), a*(green-red), b*(blue-yellow)를 측정하였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처리 후 화색의 차이를 수치화하여 비교하기 위해 ΔE = [(L2-L1)2 + (a2-a1)2 + (b2-b1)2] 1/2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Oh et al., 2015), 잎의 엽록소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Chlorophyll 함량(SPAD-502Plus, MINOLTA, Japan)을 측정하였고, 화 폭은 꽃의 화폭이 가장 긴 부분을 mm자로 측정하여 수확직 후 대비 처리 6일 후를 백분율로 나타냈다(Kim and Lee 2022).

    통계분석

    통계분석용 프로그램인 SAS package(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4, SAS Institute Inc., USA)를 이용하여 ANOVA(analysis of variance)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처 리간의 유의성은 DMRT(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5% 수준으로 하였다.

    결과 및 고찰

    미산성 차아염소산수가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제로써의 가 능성과 절화수명연장효과를 알아보고자 HOCl를 침지처리를 한 결과, 대조구의 절화수명은 8.7일인데 비해 5분 침치 처리 시 10.8일로 대조구보다 2.1일 수명을 연장시켰다(Table 1). 이는 NaOCl 50~200μL·L-1와 ClO2 0.5~1μL·L-1가 대조구보 다 절화수명이 연장된 결과와 유사하였다(Roh et al. 2018). 이산화염소 보존용액 처리(ClO2 4μL·L-1)와 침지처리(ClO2 50μL·L-1, 60sec) 시 세균축적을 억제하여 절화수명이 연장 되었는데(Lee and Kim 2014),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침지 처리 시 보존용액의 살균력으로 인해 수분흡수를 용이하게 하 여 절화수명을 연장시킨 것으로 보인다. 절화수명을 단축시키 는 주요 원인으로는 꽃목굽음과 잿빛곰팡이인데(Muñoz et al. 2019) 절화수명 종료 증상의 경우, 대조구는 꽃목굽음 44%, 잿빛곰팡이병 33%, 꽃잎 위조 22%으로 나타났으며, 차 아염소산수 침지처리 시 모든 처리에서 잿빛곰팡이 발병률이 감소하였다(Fig. 1). 특히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3분 이상 침 지처리는 꽃목굽음 증상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줄기도관을 살 균함으로써 도관 내 세균 증식을 억제시켜 꽃목굽음을 억제시 킨 것으로 판단된다(van Doorn and Whitte 1994;Lee and Kim 2019).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는 세균의 세포벽을 파 괴시켜 대사작용을 억제하며, 세균 및 진균에 효과적인 살균 작용을 한다(Yoo et al. 2021). 상대생체중은 모든 처리구에 서 2일까지 증가 후 감소하였다(Fig 2A). 수확 후 장미의 절 화수명은 수분흡수가 중요한 요인이다(Fanourakis et al. 2013). 특히 수분흡수율은 모든 처리가 초기에는 증가 후 6일 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2B). 수분흡수율은 보존용 액 및 줄기도관 내 미생물 증식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Edrisi et al. 2015), 증류수 및 수돗물에 절화 장미를 꽃아 두었을 때, 보존용액 내 세균이 증식한다(Lee and Kim 2019). 따라서 시간 경과에 따라 보존용액 내 세균이 증식하 고, 절화수명이 종료되는 시점인 6일차에 수분흡수율이 감소 된 것으로 보인다.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처리구 중 1분 침지 처리구에서 수분흡수율과 상대생체중은 빠르게 감소하여 대 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조구인 수돗물 또한 염 소의 살균력으로 짧은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침지처리 시간과 차이가 없었다(Table 1; Fig 2;Lee and Kim 2014). 화색 변화율은 ΔE값이 낮을수록 변화율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Oh et al., 2015). 처리 6일 후 화색 변화율은 ΔE값이 3분과 5 분 침지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대조구는 초기 화색과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Table 2).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침지 처리 구는 대조구에 비해 ΔE값이 낮아, 화색 변화율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Table 2). 절화수명 종료 시점에 개화율은 중요 한 절화 품질 요소 중 하나이다(Lee et al. 2005). 처리 6일 후 상대화폭증가율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5분 침지 처리 구에서 145%로 개화를 촉진시켰다(Table 3). 잎의 엽록소함 량은 3분 이상 침지처리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Table 3).

    결론적으로 미산성 차아염소산수(HOCl) 30μL·L-1(pH 6.26) 5분 침지 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꽃목굽음과 잿빛곰팡이 발병을 감소시키고, 장미의 절화수명을 연장시켜 절화장미의 전처리제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 사

    이 성과는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의 재원으로 전남대학교 교내기본연구활동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Figure

    FRJ-30-4-205_F1.gif

    The symptoms of vase life termination of cut rose ‘Bubble Gum’ flower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t 30 μL·L-1 for 0 (control), 0.5, 1, 3, and 5 min.

    FRJ-30-4-205_F2.gif

    Change in relative fresh weight (A) and vase solution uptake (B) of cut rose ‘Bubble Gum’ flower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t 30 μL·L-1 for 0 (control), 0.5, 1, 3, and 5 min. Vertical bars indicate the standard error (n = 9).

    Table

    Effect of pulsing treatmen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t 30 μL·L-1 on the vase life and total vase solution uptake on day 6 after treatment of cut rose ‘Bubble Gum’.

    Change in petal color of cut rose ‘Bubble Gum’ flower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t 30 μL·L-1 for 0 (control), 0.5, 1, 3, and 5 min.

    Changes in flower size and leaf chlorophyll contents of cut rose ‘Bubble Gum’ flower treated with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t 30 μL·L-1 for 0 (control), 0.5, 1, 3, and 5 min between 0 and 6 days after treatment and compared with 0 days as 100%.

    Reference

    1. Chamani E , Esmaeilpour B (2007) Thidiazuron effects on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nation during pre and postharvest periods. J of Appl Hort 9:115-117
    2. Edrisi B , Sadrpoor A , SaffarI VR (2015) Effects of chemicals on vase life of cut carnation (Dianthus caryophyllus L. ‘Delphi’) and microrganisms population in solution. J Ornam Plants 2:1-11
    3. Fanourakis D , Pieruschka R , Savvides A , Macnish A , Sarlikioti V , Woltering EJ (2013) Sources of vase life variation in cut roses: A review. Postharvest Biol Technol 78:1-15
    4. Goo SG , Koo J (2020) Establishment of rice Bakanae disease management using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acid water. J Life Sci 30:178-185
    5. Kim JH , Lee YB (2022) Treatment concentration of ozone and sucrose to extend the vase life of the cut rose ‘Dominica’. Flower Res J 30:69-74
    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REI) (2019) Predicting future flower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Korea. NIHHS, RDA, pp 35-81
    7. Kumar N , Srivastava GC , Dixit K (2008) Hormonal regulation of flower senescence in roses (Rosa hybrida L.). Plant Growth Regul 55:65-71
    8. Lee JS , Park CH , Seo JK , Jung JH , Jung BY , Kim YY , Kim KW (2005) Floriculture quality keeping or process. Wizvalley, Seoul, Korea, pp 70-147
    9. Lee KE (2008) Effects of eco-friendly preservatives and media on vase life of cut lily and rose. MS thesis, Dankook Univ, Seoul, Korea
    10. Lee YB , Kim WS (2014) Antimicrobial effect of chlorine dioxide on vase life of cut rose ‘Beast’. Hortic Sci Technol 32:60-65
    11. Lee YB , Kim WS (2019) Chlorine dioxide treatments extend the vase life of exported cut roses. Hortic Sci Technol 37:238-245
    12. Lee YB , Kim WS (2020) Natural skullcap extracts substitute commercial preservatives during summer export for cut rose flowers. Flower Res J 28:170-174
    1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20) Flower cultivation status in 2020. pp 32-39
    14. Muñoz M , Faust JE , Schnabel G (2019) Characterization of Botrytis cinerea from commercial cut flower roses. Plant Dis 103:1577-1583
    15. Oh SI , Yoon JW , Lee JH , Kang MJ , Lee AK (2015) The optimum condition of preserved flower for cut Hydragnea macrophylla ‘Ruby’. Flower Res J 23:255-260
    16. Ohta K , Harada K (2000) Effect of electrolyzed anode water on the vase life of cut rose flowers. J Japan Soc Hort Sci 69:520-522
    17. Park HM , Lee AK (2021) Comparative analysis of quality of standard cut flowers of Rosa hybrida distributed in Korea. Flower Res J 29:263-271
    18. Park KY , Kim YS (2022) Analysis of domestic cut rose varieties and phylogenetic preference: Focusing on cut roses foste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J Korean Soc Floral Art and Design 46:131-147
    19. Roh Y , Kim IK , Yoo YK (2018) Improved quality and vase life of cut flowers of the standard chrysanthemum cultivar ‘Baekma’ using wet shipping solutions with NaOCl and ClO2. Hortic Sci Technol 31:863-875
    20. Song JY , Kim NR , Nam MH , Park BJ , Whang EI , Choi JM , Kim HG (2013) Fungicidal effect of slightly acidic hypochlorous water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Korean J Mycol 41:274-279
    21. Van Doorn WG , Whitte TD (1994) Effect of bacteria on scape bending in cut Gerbera jamesonii flowers. J Amer Soc Hort Sci 119:568-571
    22. Xiong K , Liu H , Liu R , Li L (2010) Differences in fungicidal efficiency against Aspergillus flavus for neutralized and acidic electrolyzed oxidizing waters. Int J Food Microbiol 137:67-75
    23. Yoon SR (2006) Studies on properties and disinfection effect of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SEW) and weak acidic electrolyzed water (WEW). MS thesis, Gangneung Nati Univ, Gangneung, Korea
    24. Yoon SR , Lee JY , Yang JS , Ha JH (2021) Bactericidal effects of diluted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in quantitative suspension and cabbage tests. LWT-Food Sci Technol 152:112291.
    25. Zieslin N , Starkman F , Zamski E (1989) Bending of rose peduncles and the activity of phenylalanine ammonia lyase in the peduncle tissue. Plant Physiol and Biochem 27:431-436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Original Research
      Articles
      국문 영문
      Review Articles 리뷰
      ★NEWTechnical Reports단보
      New Cultivar
      Introduction
      품종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