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PMC Previewer
ISSN : 1225-5009(Print)
ISSN : 2287-772X(Online)
Flower Research Journal Vol.31 No.1 pp.45-58
DOI : https://doi.org/10.11623/frj.2023.31.1.06

Analysis of Modern Domestic Gardens in Korea according to Overseas Literary Design Trends
해외 사조에 따른 국내 조성 현대정원 디자인 분석

Je Yeon Yeon1, Yeong Chan Shin2, Min Ji Kim2, Bo-kyeong Kang2, Yuri Lee2, Haram Yang2, Kyung Mi Lee3, Wan Soon Kim1,2*

1Natur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2Department of Environmental Horticulture, University of Seoul, Seoul 02504, Korea
3Garden and Plant Resources Division,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1686, Korea

연 제연1, 신 영찬2, 김 민지2, 강 보경2, 이 유리2, 양 하람2, 이 경미3, 김 완순1,2*

1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3국립수목원
* Correspondence to Wan Soon Kim Tel: +82-2-6490-2693 E-mail: wskim2@uos.ac.kr
02/03/2023 22/03/2023

Abstract


To analyze the design trend of modern domestic gardens, we investigated the applied garden styles and plants with 80 cases. Of the 80 garden cases, 53.7% were located in Seoul and 46.3% in other regions. The gardens have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types based on management styles: public, 62.5%; commercial, 21.3%; and private, 16.2%. The garden design was classified into 12 styles (structured garden, unstructured garden, combination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garden, architectural garden, nature garden, new landscape garden, new German garden, modernism garden, prairie garden, new wave garden, romanticism garden, and art garden) according to literary trend in overseas throughout 19th and 20th century. The rate of popularity of single-style and complex-style designs of modern domestic gardens was 55.0% and 45.0%, respectively. The rate of application of combined types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styles was higher than the others such as modernism, prairie, new wave, and romanticism with only 0.02% – 0.06% preval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garden plant types in different design styles, but it had a higher planting frequency with species and cultivars.




국내 현대정원의 조성 디자인 경향성을 확인하고자 우수 경 관 정원 80개소 대상으로 적용 양식 및 정원 식물을 조사하였 다. 조사 대상 80개소 정원 중 53.7%는 서울 및 수도권, 46.3%는 그 외 지역에 소재하고 있다. 또한, 관리 유형에 따 라 공동 정원, 상업시설 정원, 개인 정원으로 구분 되었으며, 각 62.5%, 21.3%, 16.2%로 나타났다. 19~20세기 해외 정원 사조에 따라 조성 양식은 12유형(정형식, 비정형식,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건축식, 자연, 신풍경, 뉴저먼 스타일, 모더니 즘, 프레리 스타일, 뉴웨이브 스타일, 낭만주의, 예술작품 정 원)으로 분류되었다. 우리나라 현대 정원은 단일 및 복합 양식 활용이 각 55.0%와 45.0%로 유사하였다. 주로 정형 및 비정 형 복합식 정원이 활용되는 반면,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정원 대비 낭만주의, 모더니즘, 프레리 및 뉴웨이브 스타일 이용 빈 도는 0.02~0.06배 수준이었다. 조성 양식 활용에 따라 이용 되는 식물 소재 유형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특정 디자인에 서 식재 빈도가 높은 분류군을 확인했다.



초록


    서 언

    독일, 영국, 프랑스 등의 대부분 유럽 국가는 정원활동이 생활화되어 다양한 유형 및 디자인의 양식을 발전시켜왔다 (Kim 2015). 19세기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왕실과 귀족의 전유물이었던 정원문화는 대중들에게 전파되면서 정원의 개 념과 양식에 새로운 변화가 나타났다(Lee 2021). 현대정원은 식물의 생태와 사회성을 이용한 예술 공간으로써 자연주의적 양식 활용이 대두되고 있다(Choi and Seo 2015;Lee et al. 2021).

    2013년 개최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기점으로 우리나 라의 정원문화가 급속히 확산되어 다양한 형태와 기능의 유형 이 등장하고 있다(Lee 2021;Yeon et al. 2022b). 공모전, 박람회, 상업공간 등의 공공장소 뿐만 아니라 개인의 복지 및 가정 구성원들의 친목 목적으로 주택 내·외부 공간에 정원이 조성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국·공립 운영 47개소, 개인 정원 90개소로 확인되었으며 지속적인 증가 추세이다(KFS 2023;Kim 2020;Lee 2021;Yeon et al. 2022a).

    1990년대 이후 조성된 우리나라 정원은 유럽식 또는 자연 풍경식 디자인을 추구하였으나 최근 다양한 양식과 식물소재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Kim 2020;Yeon et al. 2022b). 그러나 정원문화가 적극적으로 국내에 보급되기 시작 한 2010년 이후 조성된 정원의 디자인 양식에 대한 연구 및 활용 가능한 원예 소재 보급이 미흡한 실정이다(Kim 2015;Kim 2022;Yeon et al. 2022b). 우리나라의 정원문화에 대 한 이해, 확산 뿐만 아니라 이용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2020 년부터 국립수목원 중심으로 정원 식물종에 대한 정보구축과 식재조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Kim 2020, 2021, 2022), 국내 조성 정원 디자인 활용 경향성을 확인하고자 상 기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식재 및 디자인을 적용한 우수 경 관 정원 80개소 대상으로 해외 정원사조에 관한 시대적 디자 인 특성 조사 및 국내 현대정원의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조사 대상 정원

    2020년 4월~2022년 10월까지 사전 온라인 조사(화제성 및 경관성) 및 현장조사(식재 현황 및 유지관리도)를 통해 대 중 선호도와 정원 관련 학계, 산업계, 연구소 등의 전문가 의 견을 종합하여 경관 우수성 평가 고득점 대상 80개소의 국내 현대정원을 선정하였다(Table 1). 동일 정원 내 다양한 주제 와 조성 디자인 유형이 상이한 소정원의 경우, 별도 정원으로 설정하였다. 경관의 우수성은 주변 환경과의 조화, 식물 건전 성, 식재 조화(교목/관목/초본 비율 및 색채 우수성), 정원 관 리수준(청결도 및 잡초제거 등)을 지표로 설정했으며, 화제성 은 우리나라 국민의 세대별 이용도가 높은 개인 블로그 및 영 상, 정원 관리 공개 홈페이지 계정, 개인정원 티켓 판매 사이 트 등의 SNS 노출 빈도와 티켓 판매량 기준으로 평가했다 (Kim 2020, 2021, 2022;Yeon et al. 2022a, 2022b). 현 장 조사는 주로 정원 관리가 가장 어려운 시기인 여름(7~8월) 에 진행하였으나 봄(5월)과 가을(10월)에도 경관 우수성을 평 가하였다.

    해외 조성 현대정원의 디자인 스타일을 분석하기 위해서 2022년 8월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의 주요 정원 및 정원 박 람회를 참여하여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프랑스에서는 파 리 식물원(Garden of Plants in Paris), 쇼몽 국제 가든 페 스티벌(International Garden Festival of Chaumont sur Loire), 빌랑드리 정원(Garden of Villandry), 뤽상부르 공 원(The Luxembourg Gardens), 케 브랑리 박물관 정원 (Garden of Quai Branly Museum), 모네의 정원(Giverny Monet’s Garden)을 조사했으며 영국에서는 리젠트 공원 (The Regent’s Park), 켄싱턴 가든(Kensington Gardens), 큐 왕립 식물원(Kew Gardens)을, 네덜란드에서는 국제원예 박람회(Floriade 2022)와 커뮤니티 정원(Tuinpark Nut and Genoegen)의 정원 디자인 양식을 확인했다.

    정원조성 디자인 기법

    본 연구에서는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조성된 정원을 현대정 원이라 설정하였고, 19~20세기 해외 정원조성 디자인 기법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시중에 출판된 가드닝 및 서양조경사 관련 서적을 참고하여 국가별 특성을 조사하였다(Go et al. 2015;Hobhouse 2015;Hobhouse and Edwards 2021;Im 2018;KILA 2017;Jeong 2001;Oudolf and Gerritsen 2020;Oudolf and Kingsbury 2021;Sullivan and Boults 2013;). 해외 정원 사조는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 중심으로 영국, 독일, 프랑스, 미국, 브라질 및 멕시코 6개국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외 정원 사조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기법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의 조사 대상 80개소를 중심으로 12개 유형으로 분류하여 대표 특성을 서술하였으며, 정형식 정원(structured garden), 비정 형식 정원(unstructured garden), 정형과 비정형의 복합 정원 (combined style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garden), 건축식 정원(architectural garden), 자연 정원(nature garden), 신풍경 정원(new landscape garden), 뉴저먼 스타일 정원 (new German garden), 모더니즘 정원(modernism garden), 프레리 스타일 정원(prairie garden), 뉴웨이브 스타일 정원 (new wave garden), 낭만주의 정원(romanticism garden), 예술작품화 정원(art garden)이 포함된다(Table 2). 각 디자인 기법에 대한 시각적 이해를 위해 국내·외 예시 정원 사진을 제안 하였다(Fig. 1).

    식재 분석

    식재 분석은 표본 구역 내 식재 현황을 도면화 및 식물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였다. 식물 식별은 국가표준식물목록(KNA 2022) 과 The Plant List(2022), American Horticultural Society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Brickell 2004)을 기준하였으나 출처가 불분명하고 재배품종에 대한 식별이 어 려운 경우에는 대표 종으로 표기하였다(Yeon et al. 2022a, 2022b).

    결과 및 고찰

    국내 정원 이용 현황

    대상 정원 80개소는 이용 유형, 조성 연도, 소재지가 모두 상이하였으며 경기 24개소(30.0%), 서울 19개소(23.7%), 전 라 14개소(17.5%), 제주 9개소(11.3%), 경상 8개소(10%), 강 원 및 충정 6개소(7.5%)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Table 1). 이 중 식물원 및 수목원 등 공동 이용 정원이 62.5%, 카페 및 숙박 시설 등의 상업시설 내 정원은 21.3%, 개인 조성 및 운영중인 민간정원 16.2%로 나타났다. 2000년 이전에 조성 된 정원은 12개소였으며 민간정원 비율이 약 16.6%로 확인 된 반면, 2000년대 이후에는 상업 및 민간정원이 증가하여 39.7%를 차지한다. 이는 국내 정원문화가 더 이상 국·공립 운 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목적을 통해 조성 및 이용하고 있 음을 의미한다(Yeon et al. 2022b).

    해외 정원 사조에 따른 디자인 기법

    다양한 이용 목적으로 조성된 정원들은 지형의 크기 및 형 태, 이용 식물재료의 질감 및 색감 등이 매우 상이하여 디자인 양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발전된 12 가지의 조성 기법(Table 2)을 기준으로 현대정원 디자인 양식 을 분석한 결과, 각 조성 디자인 양식이 활용된 국내·외 현대 정원은 다양하였다(Fig. 1). 정형식 정원은 프랑스 빌랑드리성 의 장식 정원(ornamental garden)과 비정형식 정원은 프랑 스 모네정원의 물의 정원(water garden of Monet’s garden) 을 포함한다. 빌랑드리 장식정원은 회양목을 활용한 생울타리 의 기하학적 무늬와 적은 수의 식생이 특징인 반면, 모네정원 의 물의 정원은 식생의 형태 및 높이, 색상 등의 경계가 부드 럽다.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정원에는 모네정원의 클로 노르망 (The clos normand of Monet’s garden), 건축식 정원은 우리나 라 켄싱턴 호텔의 야외 정원(outdoor garden of Kensington Hotel), 자연 정원은 네덜란드의 투인 커뮤니티 정원(Tuinpark as community garden)을 제안할 수 있다. 켄싱턴 호텔의 야외 정원은 회양목(Buxus sinica var. insularis)을 이용한 구 역화가 특징이며 투인 커뮤니티 정원은 환경 맞춤 식생으로 생태 보존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신풍경 정원은 지중해 자연 풍경을 재현한 영국 큐가든의 지중해 정원(mediterranean garden of Kew Garden), 뉴저먼 스타일 정원은 다양한 숙근 초를 활용하고 다량 식재한 큐가든의 거대 화단길(the great broadwalk borders of Kew Garden)이 대표적이다. 식물 외 소재와 이용자 중심으로 조성된 모더니즘 정원에는 우리나라 강 동구청 야외정원(outdoor garden of Gangdong-gu office), 솔라시도의 태양의 정원(Sun garden of Solaseado)은 대초 원 경관의 시각적, 생태적 특성을 가지며 수평적 경관을 형성 한 프레리 스타일로 분류 될 수 있다. 그라스류가 중심인 뉴웨 이브 스타일 정원에는 우리나라 에덴 파라다이스 호텔 정원 (outdoor garden of Eden Paradise Hotel), 자연 그대로의 지형이용과 주변 자연환경을 차용한 낭만주의 정원은 우리나라 햇살정원(The Sunshine Garden), 식물학과 예술에 대한 디자 이너의 관심이 반영된 예술작품화 정원은 프랑스 쇼몽 국제정 원박람회에 출품된 아네모네 폭포(The Anemone Foundation from International Garden Festival of Chaumont sur Loire)가 포함된다.

    국내 현대정원 조성 디자인 분석

    우리나라에 조성된 현대정원 80개소는 정원의 규모 및 테 마 등에 따라 다양한 양식이 단일 또는 복합 활용되었다 (Table 3). 단일 조성 디자인 양식을 활용한 정원은 44개소 (55.0%), 2개 이상 복합 활용 정원은 36개소(45.0%)로 나타 났으며, 이는 조사 대상 정원 중 동일 정원 내 규모 및 테마에 따라 구획화된 소정원이 포함되어 단일 양식 활용도가 10%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성 디자인은 정형 및 비정 형 복합식 정원(54개소), 신풍경 정원(14개소), 정형식 정원 (11개소), 비정형식 정원(9개소), 건축식 정원과 뉴저먼 스타 일 정원(각 8개소), 예술작품화 정원(7개소), 자연 정원(6개 소), 낭만주의 정원(4개소), 모더니즘 정원(3개소), 프레리 및 뉴웨이브 스타일 정원(각 2개소) 순으로 활용 빈도가 높았다 (Table 3).

    단일 양식 활용 정원 44개소 중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정 원은 30개소(68.2%)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꿈은 시작된 다(dreams begin: winter garden), 그린망고 카페(Green Mango Café), 뚜아에무아 야생화 정원(wild flower garden of Toi et Moi), 서울숲 갤러리 정원(gallery garden of Seoul Forest 및 오소 정원(Oso garden), 시크릿 정원(Secret Garden), 우리의 꿈(Our Dream), 이로 가든(Iro garden) 등 이 조성되어 있다. 이 외 신풍경 정원에는 솔라시도 산이 정원 (Sani garden of Solaseado) 외 순천만국가정원, 아침고요 수목원, 한국도로공사 전주식물원, 한택식물원의 석정원(rock gardens of Suncheonman National Garden, The Garden of Morning Calm, Jeonju Arboretum of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nd Hantaek botanical garden)이 포함된다. 예술작품화 정원에는 생각하는 정원의 영감의 정원(inspiration garden of Spirited Garden), 서서울호수공원의 몬드리안 도서관(Mondrian library of Seoseoul Lake Park), 제주 허브동산의 연인의 숲(Lover’s Forest of Herbdongsan in Jeju) 3개소를 예시로 제안할 수 있다. 건축식 정원과 자연 정원 에는 각 서유숙펜션(outdoor garden of Seoyoosuk Stay)과 쑥썸 별정원(Star Garden of Healing Park Ssookseom), 소추원(Sochuwon)과 섬이정원의 모네정원(Monet’s garden of Seomi Garden)이, 정형식 정원과 뉴저먼 스타일 정원에 는 각 서울대공원 숙근초 정원(perennial plants garden of Seoul Grand Park)과 성남시청 야외정원(outdoor garden of Seongnam City Hall)이 조성되어 있다.

    복합 조성 양식을 활용한 정원 36개소 중, 2가지 스타일을 적용한 정원이 27개소로 75.0%, 3가지 스타일 적용 19.4%, 4~5가지는 5.6%였으며, 이 중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양식이 63.9%로 활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단일 양식 활용과 유사 하였다. 한 정원 내 가장 많은 양식을 활용한 곳은 퍼스트가든 의 분수정원(fountain garden of First Garden)과 에덴 파 라다이스 호텔 정원이었으며 정형 및 비정형 복합식, 정형식, 비정형식, 건축식, 신풍경, 뉴저먼 스타일, 뉴웨이브 스타일이 적용되었다. 정원의 규모 및 주제, 이용 목적, 구조물 등으로 인해 다양한 양식이 활용되기도 하며, 이는 디자이너 또는 이 용자의 주관적 해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계절에 따른 환경 및 식생 변화로 다양한 디자인이 도출될 수 있다(Yeon et al. 2022b).

    일부 양식은 정원 내 특정 식생으로 디자인 특성이 보다 더 뚜렷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활용 가능한 정원 소재 다양성 확보를 위해 80개소 대상으로 디자인별 식재 특 성에 대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Kim 2020, 2021, 2022) (자료 생략). 그 결과, 특정 식재를 활용하여 디자인 표현이 용 이한 양식에는 정형식 및 건축식, 신풍경, 뉴저먼 및 뉴웨이브 스타일 등이 해당된다(Table 2). 정형식 및 건축식 정원의 경 우, 생울타리 활용으로 기하학적 패턴 형성 및 구획화가 진행 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관목인 회양목(Buxus sinica var. insularis),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 화살나무 (Euonymus alatus), 일본조팝나무(Spiraea japonica), 댑싸리 (Kochia scoparia), 사철나무(Euonymus japonicus) 등이 활용되 었으며, 면이 형성된 구역 등에 가우라(Gaura lindheimeri), 솔 잎금계국(Coreopsis verticillata), 팜파스그라스(Cortaderia selloana) 등의 초본류가 한 종으로 그룹식재 되어있었다. 신 풍경 정원에는 주로 암석원이 해당되었기 때문에 양지 및 건 조 기후에 잘 적응 할 수 있는(Yeon et al. 2022a) 측백나무, 향나무(Juniperus chinensis), 흰말채나무(Cornus alba), 김의 털(Festuca ovina), 세덤(Sedum), 꿩의비름(Hylotelephieum erythrostictum), 큰꿩의비름(Hylotelephieum spectabile), 지면패랭이꽃(Dianthus deltoides) 등이 조사되었다. 뉴저먼 스타일 정원에는 번식력과 생장력이 우수한 숙근초를 활용하 였으며,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가우라, 은청개고사리 (Athyrium niponucum var. pictum), 중등골나물(Eupatorium fortunei), 비비추(Hosta spp.), 휴케라(Heuchera spp.), 에키나 시아(Echinacea spp.), 수크령(Pennisetum alopecuroides) 등이 포함된다. 최근 정원 디자이너 및 관리자들이 식물 소재 활용 다양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조성 양식별 특정 식 재가 제한되어 있진 않기 때문에 기후 및 지역, 이용 목적 등 을 고려하며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 하는 양식 및 활용 식생은 우리나라 현대정원에 적용 가능한 범위로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기존 현대정원 외에 최근 우리 나라 정원 디자이너들의 활용 양식 및 기법에 대한 추후 연구 를 통해 국내 정원 조성의 트렌드를 심화 분석할 필요가 있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정원식물종 정보구축 및 조성·관리 를 위한 식재조합 연구, KNA4-1-1,19-6”사업의 지원을 받 아 수행되었음.

    Figure

    FRJ-31-1-45_F1.gif

    The example photos of modern gardens by design style. Structured garden: Ornamental garden of Garden of Villandry in France; unstructured garden: the water garden of Giverny Monet’s Garden in France; combined style of structured and unstructured garden: The clos normand Giverny Monet’s Garden in France; architectural garden: outdoor garden of Kensington Hotel in Korea; nature garden: Tuinpark as community garden in Netherlands; new landscape garden: The mediterranean garden of Kew Garden in England; new German garden: The great broadwalk borders of Kew Garden in England; modernism garden: outdoor garden of Gangdong-gu office in Korea; prairie garden: Sun garden of Solaseado in Korea; new wave garden: outdoor garden of Eden Paradise Hotel in Korea; romanticism garden: The Sunshine Garden in Korea; art garden: The Anemone Foundation from International Garden Festival of Chaumont sur Loire in France.

    Table

    Information about 80 cases of domestic modern gardens analyzed in this study.

    Brief description for garden design styles according to literary trend in overseas.

    Classification of 80 domestic modern gardens by design style.

    Reference

    1. Brickell C (2004) American Horticultural Society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AHS, DK, New York
    2. Choi JM , Seo YA (2015) A study on the view of garden art and culture of Kyungwhasahok in late Joseon dynasty as a main group of garden construction. J Kor Inst of Garden Design 1:77-87
    3. Go JH , Kim OK , Park EY , Beak NY , Yang GS , Lee KH , Lee HJ , Lee HS , Jang IY , Jung TY , Han SM , Hong KP , Hwang MH (2015) History of western gardens. Kimoondang, Seoul
    4. Hobhouse P (2015) Plants in garden history. Daega, Seoul
    5. Hobhouse P , Edwards A (2021) The Story of Gardening. Sigonsa, Seoul
    6. Im CH (2018) Planting design: Planting design of garden. Riwon, Seoul
    7. Jeong YS (2001) History of western landscape architect. Nurie, Seoul
    8. Kim JC (2020) A study on styles of and changing attitude towards Korean private gardens. J Kor Inst Spatial Design 15:52-66
    9. Kim WS (2015) National gardening industry surveys and prospects. 2015 Service Repor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10. Kim WS (2020) Analysis of well-harmonized planting landscape for garden management. 2020 Service Repor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11. Kim WS (2021) Analysis of well-planted landscape for garden management and seasonal monitoring. 2021 Service Repor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12. Kim WS (2022) Analysis of suitable plant combination cases and gardening based on public preference. 2022 Service Repor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13. Korea Forest Service(KFS) (2022) Current state of arboretums and botanical gardens in Korea. Accessed Feb. 2023, https://www.forest.go.kr/kfsweb/kfi/kfs/cms/cmsView.do?mn=NKFS_03_03_07&cmsId=FC_000875
    14. Korea National Arboretum(KNA) (2022) Korean plant names index committee. Accessed from July to Nov. 2022,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15. Lee GH (2021) Transition of garden culture and establishment of a strategy to promote the creation of a garden city. Kor J Forest Econ 28:1-13
    16. Lee MK , Lee DR , Jin HY , Bae JK , Song SJ (2021)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iophyte for woodland garden. J Kor Inst Garden Design 7:277-285
    17. Oudolf P , Gerritsen H (2020) Dream plants for the natural garden. Moksubooks, Seoul
    18. Oudolf P , Kingsbury N (2021) Planting: A new perspective. Moksubooks, Seoul
    19. Sullivan C , Boults E (2013) Illustrated history of landscape design. Kimoondang, Seoul
    20.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KILA)
    21. The Plant List (2022). A working list of plant species. Accessed from May to Dec. 2022, http://www.theplantlist.org
    22. Yeon JY , Kim MJ , Lee KM , Park SH , Kim WS (2022) Comparative analysis of planting characteristics by garden type. Flower Res J 30:18-25
    23. Yeon JY , Kim MJ , Shin YC , Lee KM , Seo JH , Kim WS (2022) Case analysis of seasonal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four domestic gardens. Flower Res J 30:121-128
    
    1. SEARCH
    2. Journal Abbreviation : 'Flower Res. J.'
      Frequency : Quarterly
      Doi Prefix : 10.11623/frj.
      ISSN : 1225-5009 (Print) / 2287-772X (Online)
      Year of Launching : 1991
      Publisher : The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Indexed/Tracked/Covered By :

    3. Online Submission

      submission.ijfs.org

    4. Template DOWNLOAD

      국문 영문 품종 리뷰
    5. 논문유사도검사

    6. KSFS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7. Contact Us
      Flower Research Journal

      - Tel: +82-54-820-5472
      - E-mail: kafid@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