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언
자연적으로 형성된 혹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녹지는 도시 거 주자의 생활 공간에서 휴식과 여가 등(Danford et al. 2018)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정원은 녹지 공간 중에 서도 사회적 연결성이 높으며(Bendt et al. 2013;Ghose and Pettygrove 2014), 도시 구성원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Howarth et al. 2020) 심리적 회복 효과를 가진다(Lee 2011). 환경적 관점에서의 정원은 상대적으로 공원보다 더 많 은 수의 생물 서식지를 포함하고(Barrico et al. 2018), 건강 한 먹거리에 대한 접근성이 높다(Fischer et al. 2019). 이러 한 녹지 유형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공원보다 정원 의 선호도가 더 높았으며(Kim et al. 2018), 공공정원 조성을 통해 도시 구성원에게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지역 공동체정원 조성을 통해 지 역 내 공공 공간을 심미적, 환경적, 경제적 가치 높인 사례를 보고하였다(Trendov 2018). 정원의 다양한 사회적 및 경제 적 가치를 통해 유지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정원사의 역할과 이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가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 다(Burt et al. 2017;Egerer and Fairbairn 2018;Trendov 2018). 정원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해 공적인 공동체정원에 대한 사적인 공간의 구획을 나누는 것은 주인의식을 고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Lee and Matarrita-Cascante 2019). 공공토지 분할 후 개인에게 임시 소유권을 부여하여 공동체정 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나 이는 정원 조성에 따른 토지문 제, 사회적 불평등 등 경제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Egerer and Fairbairn 2018) 지속 가능한 의사결정을 위해 서는 이러한 갈등도 고려해야 한다.
텍스트 마이닝은 대중의 사회적 인식과 동향 분석을 위해 활용되며 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에서 이슈 동향을 파악하는 데 효율적이며, 분석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모델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Arun et al. 2017;Cho 2021;Rohani et al. 2016;Jeong 2019). 이 외에도 기술 트렌드 분석(Salloum et al. 2018), 금융시장 예측 모델 개발(Jeong 2021), 교육 서비스의 효과성 조사(Chen et al. 2016), 제품 에 대한 소비자 반응(Kim 2016) 등에도 활용이 가능하다. 최 근에는 특정 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식 조사도 진행되었다. 특 정 공간에 대한 도출 단어 빈도 및 감성 분석을 통해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정책 제안 및 적용이 가능하다.
국내에는 산림청 주관으로 98개의 국가 또는 민간정원이 조성되었으며(Korea Forest Service 2023), 지역별 정원박 람회를 통해 매년 50개소 내외의 작가정원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에서 공모 사업으로 진행한 마을정원 조성사업과 행정안전부에서 진행 한 공동체정원 조성사업을 통해 지역정원이 조성되었다. 정원 인프라가 늘어나고 있는 상황과는 대조적으로 정원의 유지관 리를 위한 조직체계와 인력, 식물관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정원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관리 주체인 주민들 의 인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와 같이 관리 주체 인 주민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정책 방향과 추진에 참고할 수 있는 인식분석을 진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주민 인식 조사 를 실시하고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해 정원정책에 대한 시 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8~2019년 행정안전부, 서울특별시, 경기도 지자체에 서 실시한 정원 공모사업을 통해 공동체정원 및 마을정원 30 개소 사례를 선정하였고(Fig. 1) 2019년 8~10월, 2020년 6~8월 두 차례에 걸쳐 정원 이용 주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내용을 텍스트화 한 후 R version 3.6.3 기반 텍스트 마이닝을 하였다(Fig. 2).
사례지 선정
본 연구는 조성된 공동체정원 또는 마을정원을 대상으로 공 동체의식 수준, 정원 조성의 우수성, 환경 개선 여부, 민관협 력 분야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위 40%에 해당하 는 사례를 선정하였고, 그 중 대면 인터뷰에 응한 30개소를 분석 대상지로 하였다(Table 1). 본 조사의 인터뷰 대상자는 정원 설계, 식재, 정원 관리에 직접 참여한 사람들로 총 66명 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민과 지자체 공무원의 인터뷰 내 용을 바탕으로 사업 참여자 및 관계자를 기준으로 각 주민자 치회, 지자체 공무원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주민(공공체) 주도 의 정원조성 사업 신청 및 유지관리가 진행되고 있는 그룹과 지지체 행정부 주도 하에 유지관리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 는 두 개의 유형이 포함된다. 주민 주도 그룹은 정원의 설계와 시공은 주민들이 직접 참여한 반면, 관 주도 그룹의 경우, 관 련 부서의 공무원이 주민 참여를 유도하여 정원 조성을 감독 하였다. 정원 조성을 위한 주민협의체 구성여부가 그룹 분류 의 핵심 요소이다.
설문조사
본 연구의 인터뷰 항목은 총 6개 분야로 구성되었다: 정원 조성계획에 대한 전반적인 요약(규모, 테마, 조성배경), 정원 조성의 주체성, 조성 과정의 주요 요소(절차, 협의과정, 교육 참여), 정원 식재 조합 및 선택 종에 대한 이유, 유지관리 예 산 계획 및 개선할 사항, 주요 관리자에 대한 정보를 항목화하 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자가 사용할 수 있는 용어와 제시 되는 단어의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 다. 인터뷰 과정은 기기를 통해 녹음되었고, 녹음된 문장을 연 구자들이 디지털화하여 텍스트 파일로 변환하였다(Fig. 2).
텍스트 마이닝
참가자 인터뷰를 통한 인식 분석을 위하여 단어 빈도, 토픽 모델링, 감성 분석을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R 기반 텍스트 마이닝의 경우, 토픽 모델링에는 ‘tm’, ‘KoNLP’, ‘stingr’ 패키지와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방법을 사용하였다. 잠재 토픽 모델링은 특 정 단어가 특정 토픽을 나타내는 관측치로 가정하였고, 해당 단 어가 문서에 도출되는 확률을 조사하는 R의 ‘topicmodels’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주제가 등장할 확률에 대해 개소별 점 수를 합산해 확률을 계산하여 도출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주 제가 나누어진다는 것은 각 주제가 포함하는 키워드가 서로 통계적으로 다르게 출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Blei et al. 2003). 토픽분석은 각 그룹에서 개별 마을정원에서 확률을 도 출하고 합산하는 모델링으로, 최종 산출결과가 점수화하여 나 타났다. 토픽주제가 나누어지는 것은 각 주제의 키워드 출현 빈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행연 구에서도 토픽모델링 결과에서 토픽이 나누어진 것에 대한 통 계적 확률에 대한 것은 이미 내포되어 있으며, 각 토픽이 차지 하고 있는 확률적 단어 빈도를 설명하고 있다(Jin and Kim 2022;Jeong and Lee 2023).
단어 빈도 분석 결과는 중요도에 따른 집중적인 해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 다룬 전체 단어가 아닌 상위 50개의 빈도만 표기 하였으며, 상위 50개 빈도 단어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도출 빈 도가 1회로 표현되었다. 감성 분석을 위해 군산대학교에서 제 작한 한국어 감성 사전(https://github.com/park1200656/ KnuSentiLex)을 사용하였으며 그룹별 부정적 단어와 긍정적 단어의 도출 빈도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전 속 단어 와 문서 속 단어를 대조하여 정원 그룹에 따른 주민들의 인식 을 분석하기 위해 문서 내용을 단어 단위로 구분하였다(Table 2). 두 그룹간 비교를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프로그 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결과 및 고찰
분석 대상자에 대한 일반사항
주민 주도 그룹은 18개 정원, 관 주도 그룹은 12개 정원으로 조사되었다. 주민 주도 그룹은 응답자의 32.6%가 남성, 나머지 67.4%가 여성인 반면, 관 주도 그룹은 응답자의 65.2%가 남성, 나머지 34.8%가 여성으로 나타나 주민 주도는 여성이, 관 주도 는 남성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
단어의 빈도
인터뷰 내용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도출된 총 단 어의 종류는 관 주도 그룹은 총 504개(누적빈도 1,257회)가 등장했으며, 주민주도 그룹은 총 707개(누적빈도 1,892회)의 단어가 언급되었다. 관 주도 그룹에 비해 주민 주도 그룹이 약 1.4배 다양한 단어를 사용하여 정원에 대해 보다 폭넓게 표현하고 있다. 상위 50개 단어의 누적빈도는 관 주도 그룹 이 539회, 주민 주도 그룹이 699회로 도출되었다. 관 주도 그 룹의 상위 5개 단어는 ‘정원(Garden)’, ‘주민(Resident)’, ‘조 성(Create)’, ‘진행(Progress)’, ‘사업(Project)’순으로 나타 났다. 관 주도 그룹의 단어 활용 빈도에 따라 ‘사업(Project)’ 에 대한 비율(2.148)이 높은 것과 상위 50개 단어 중 ‘업체 (Enterprise)’, ‘공무원(Public official)’, ‘전문가(Expert)’에 대한 언급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Table 3).
주민 주도 그룹의 도출 빈도 상위 5개의 단어는 ‘정원 (Garden)’, ‘조성(Create)’, ‘주민(Resident)’, ‘마을(Village)’, ‘진행(Progress)’이었다. 주민 주도 그룹의 참여자는 ‘마을 (Village)’ 단어에 대한 비율(2.854)이 높아 마을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뚜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민 주도 그룹의 정원 참여자는 ‘활동(Activity)’, ‘프로그램(Program)’, ‘지속(Go on)’, ‘센터(Center)’에 대한 언급으로 공동체가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관리의 지속성을 고려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위 50개 단어 안에 ‘공동체(Community)’, ‘시민(Citizen)’, ‘지역(Region)’에 대한 활용빈도가 높아 해당 지역에 대한 공동체 및 구성원에 대한 비중과 중요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어의 다양성은 높지 않았지만,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단어의 집중도를 보면, ‘생각(Thinking)’, ‘관심(Interest)’, ‘의 견(Opinion)’, ‘반영(Reflection)’이라는 단어를 통해 주민 주도 그룹에서 공통적으로 공동체 참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Table 4). 단어 빈도 결과, 주민 주도 그룹과 관 주도 그룹 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두 그룹 간 단어 빈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단어 사용 빈도의 경향은 달랐다. 정원의 운영 방식에 따라 다른 단어 발생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감성 분석
감성어의 수는 정원 그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Fig. 3). 주 민 주도 그룹과 관 주도 그룹은 각각 72점와 34점의 긍정 감 성어를 나타냈다. 감성어 분석에서 부정적인 점수는 관 주도 그룹에서 29점, 주민 주도 그룹은 34점으로, 두 그룹이 비슷 했지만, 긍정적인 점수는 두 그룹 간에 차이가 있었다. 주민 주도 그룹에서 긍정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긍정점수 간의 차이는 38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 다. 선행연구에서 주체에 따른 정원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주 체에 따른 정원에 대한 선호도가 달랐으며, 이를 통해 정원조 성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서 긍정적 인식 차이가 보일 수 있 다는 것을 알 수 있다(Chae 2017).
토픽 모델링
관 주도 그룹과 주민 주도 그룹의 인터뷰 내용을 토픽 모델 링을 통해 5가지 주제로 나누었을 때, ‘정원 공간 활용(A)’, ‘주민에게 미치는 영향(B)’, ‘정원 참여자(C)’, ‘정원조성과정 (D)’라는 4가지의 주제는 관 주도 그룹과 주민 주도 그룹의 공통적인 주제로 도출되었다. 나머지 주제는 관 주도 그룹은 ‘문제점(E)’, 주민 주도 그룹은 ‘정원정책(F)’으로 차이점을 보 였다(Table 5). 이는 단어빈도에 따른 주민의 인식 비중을 확 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각 그룹 내에서 가장 높은 주제확률을 보인 주제는 관 주도 그룹은‘주민에게 미치는 영향(B)’이고, 주민 주도 그룹은 ‘정원정책(F)’이다. 공통적인 주제 중‘주민 에게 미치는 영향(B)’과 ‘정원 공간 활용(A)’에 대해서 관 주도 그룹이 주민 주도 그룹보다 각각 3.9배와 2.9배 더 높은 주제 확률을 보였다. 반면에‘정원조성과정(D)’ 과 ‘정원 참여자(C)’ 는 주민 주도 그룹이 관 주도 그룹보다 각각 2.9배, 1.4배 높 은 확률점수를 보여주어 두 그룹 간의 관심과 인식이 다르다 는 것을 알 수 있다(Table 6). 관 주도와 주민 주도 그룹 안에 서 토픽 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주제 확률점수가 높다는 것은 해당 주제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Rohani et al. 2016). 주민 주도 그룹은 정원이 주민 스스로 관리해야 하는 공간이라는 의식을 가지고 정원 조성 사업을 시작했기 때문에 유지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다. 특히 주민들은 정원을 활용한 지역행사, 교육환경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주제의 개연성 이 높을 수록 해당 주제가 주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정원 내 공간 활용에 대한 정책 추진의 단서가 될 수 있다. 특히, 주민 주도 그룹은 정원조성 과정과 정책에 대한 고려를 하고 있다는 것이 관 주도 그룹과는 다르 게 나타난 점이다. 현재의 정원을 조성하기까지 그리고 앞으 로의 신규 정원을 조성하기 위한 정책 방향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능동적인 정원 참여자가 정원에 대한 주인의식을 인식하 고 있다고 판단한다.
관 주도와 주민 주도 그룹의 공통 주제 내에서도 도출된 단어 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정원 참여자(C)의 경우 관 주도 그룹은 ‘강제성(Compulsion)’과 ‘무관심(Indifference)’등 공동체 정 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두 그룹 모두에서 ‘사후관 리(Follow-up management)’라는 단어가 공통으로 언급되어 정원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주민 주도 그룹은 ‘일자리(Job)’, ‘참여자(Participant)’, ‘담당자(Person in charge)’, ‘양성과정(Training course)’이라는 단어를 통해 정원의 유지 관리를 위한 인적자원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주민들은 본 연구 인터뷰에서 “지속 가능한 정원 운영을 위해서는 정원 지원 인력 이 지금 당장 필요하다”고 언급하였고, 정원 관련 인력으로써 활동하기를 희망하였다. 주민에게 미치는 영향(B)에서 관 주도 그룹은 ‘먹거리(Culture of eating)’, ‘농산물(Agricultural product)’등 구체적인 생산물을 언급하였고, 주민 주도 그룹은 ‘갈등해소(Conflict resolution)’, ‘봉사활동(Volunteering)’, ‘체험학습(Experiential learning)’등 무형의 활동을 언급하 여 차이를 보였다. 정원 공간 활용(A)의 경우, 관 주도 그룹은 ‘유휴지(Unused space)’, ‘사유지(Private property)’, ‘국유 지(State owned)’, ‘공원녹지(Green open space)’등 토지의 유형에 초점을 맞추었고, 주민 주도 그룹은 ‘골목길(Alley)’, ‘놀이터(Playground)’, ‘통학로(Commuter lane)’등 구체적 인 형태가 언급되었다. 또한 ‘가능성(Possibility)’, ‘연결고리 (Connection)’, ‘휴식공간(Resting place)’등 정원이 가지고 있는 역할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정원조성과정(D)은 관 주도 에서 ‘비용(Cost)’, ‘단체(Association)’, 주민 주도에서‘협동조 합(Cooperative)’, ‘인건비(Cost of labor)’를 언급하여 공통적 으로 사업의 예산과 구성원에 대한 주체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주민 주도 그룹에서는 ‘일자리(Job)’와 ‘프로그램 (Program)’이라는 단어를 통해 정원의 사회적 및 경제적 역할에 대해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점(E)과 정원정책(F) 주제에 서는 ‘관급자재(Articles supplied by the government)’, ‘인건비 (Cost of labor)’, ‘무보수(Non-profit)’, ‘토지사용(Land use)’, ‘사후관리(Follow-up management)’, ‘지원예산(Supportive budget)’, ‘노동집약(Labor-intensive)’이라는 단어를 통하여 정원 조성 및 관리 분야에서 정책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정원이 사회적 연결성과(He and Zhu 2018), ‘자원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Ghose and Pettygrove 2014).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정원이 소재지 에 대한 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힘 을 보여주었고, 이는 Trendov(2018)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 이다. 정원은 녹지 공간으로써 물리적 기능 외에도 구성원 또 는 지역 사회간 상호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정원의 사회적 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원 공간 의 개인화를 통해 소유권을 가질 필요가 있다. 관 주도와 주민 주도 그룹 모두‘관리(Management)’와 ‘사후관리(Follow-up management)’에 대하여 언급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정원은 공원 등과 같은 녹지 공간과 달리 유지관리의 문제가 있다. 참 여자의 능동적 태도로 조성된 정원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장소 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Bendt et al. 2013).
정원 인프라의 수가 증가하면서 정원활동과 문화에 대한 관 심이 늘어나고 있지만, 공간에 대한 유지관리 측면에서 실질 적인 정책 추진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 정원조성을 위한 유지관리 방향 제시와 주민 주도 정원 조성 사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환기시킬 수 있으며, 정원 정책 기반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